24년 당기순이익을 보면 전년 대비 50% 증가를 예상하죠!
21년 제외하면 사상 최대 실적인데, 주가는 왜?
하락 이유?
1. 커머스와 쇼핑의 경쟁이 심화
- 네이버 웹 검색 점유율이 1월 61.9%에서 7월 57.8%로 하락했습니다.
- 중국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의 저가 공세가 이어졌고, 유튜브마저 라이브 쇼핑 기능을 고도화 하면서 분기 기준으로 감소세를 보이면서 12조 2000억으로 전 분기 대비 2000억 하락 했습니다.
2. 신사업
AI 하이퍼클로바X를 검색 기능에 도입했지만, 검색 점유율이 하락한 걸 보면 돌파구가 되지 못한다
3. 일본 라인 노이즈
정보 유출 문제로 일본 정부로 행정지도를 받고, 소프트뱅크에 라인야후 지분 매각 의혹이 있었죠? 라인 야후 지분(65%) 매각을 하지 않겠다고 했지만, 글로벌 사업에 불확실성이 커졌습니다.
4. 웹툰 나스닥 상장
연결 매출로 인식이 되던 웹툰 사업을 나스닥에 상장하면서 쪼개가 상장 이슈로 이 때문에 지분 가치가 하락했고, IPO 1회성 비용도 500억 발생한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5. 광고업 부진
본업인 광고 업황의 부진도 길어지고 있습니다.
6. 내부자의 매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7. 분기실적
- 연간 실적은 사상최대 실적이라고 하더라도 분기 실적은 하향되고 있어요
이 때문에 증권사에서는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하고 있어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주가는 저평가 영역으로 보여요
21년 EPS을 제외하면 PER, PBR, PCR, PSR은 역사적 저평가 영역에 있죠
차트 분석
차트상으로 주가는 160000~230000 사이에서 박스권의 움직임을 보여주죠.
박스권에서 하락 추세를 돌려내려고 시도를 하고 있구요.. 돌파하게 되면.. 위에서 언급한 대로 박스권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높아요
실적 기준 목표가 분석
*21년 실적은 수정이구요
과거 밸류에이션 적용한 목표가는 PCR을 적용해야 할 것으로 보이네요..
최고가가 465,000원인데, PCR 최고가가 444,270원 적용이 가능할 것 같구요..
코로나인 2020년을 제외하고 실적이 바닥이었던 22년의 저점이 155,000원으로 최저 PBR을 적용한 가격이 175,358원이기 때문입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