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실적 턴어라운드 시작! 사상최대 실적 기대!

 




기업 개요

 동화기업은 194842일에 설립되었으며, 1995731일에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였습니다. 2003930일 기준으로 순수지주회사로 전환하며, 사명을 동화홀딩스로 변경하며, P.B, M.D.F, L.P.M, M.F.B 등을 제조, 판매하는 구,동화기업과 마루판제품 등을 제조, 판매하는 동화자연마루, 중고자동차 사업을 영위하는 동화엠파크 및 기타 자회사들을 지배하고 있었습니다.

 이후, 2013년도 101일을 기준일로 기업 지배구조 변경을 실시하여, ,동화기업 주식회사와 동화자연마루 주식회사를 흡수합병하고 목재사업부문과 자동차사업부문으로 인적분할하였습니다. 인적분할 후 존속법인인 상호를 동화기업으로 변경하였고,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에서 탈피하여 일반 사업회사로 변경하였습니다.





■ 주주현황

▶ 최대주주와 자사주 포함해서 77%정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 계열회사 현황

▶ 이외에 해외법인 비상장이 11개사 입니다.


◇ 사업 및 매출구조

소재사업 부문과 화학사업 부문, 하우징사업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소재사업 부문은 보드 (PB, MDF ) 공급하고 있으며, 화학사업 부문은 TEGO, 전해액 등 전자재료, 하우징사업 부문은 건장재(마루) 등의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 전해액 부분이 12.2%에서 7.9%로 4.3% 줄어들었습니다.


◇ 실적분석


실적분석에 리포트를 넣은 이유는 동화기업을 커버리지 하는 증권사는 NH투자증권이 유일하기 때문에, 예상실적은 NH투자증권에서 커버하는 실적이 그대로 반영이 되었다는 점 참고하셔야 합니다.

■ 연간실적


▶ 24년부터 흑자전환이 예상이 됩니다. 또한 25년에는 24년대비 당기순이익 기준 3배 증가한 500억으로 사상최대 실적 달성이 기대됩니다.

■ 분기실적


▶ NH투자증권에 다르면, 3분기 목재는 전분기와 유사한 실적 흐름이 예상되나, 전해액은 부진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 당기순이익이 흑자전환되는 이유는 화학 원재료인 요소, 메탄올 및 원목 가격은 안정화 되었으며, 목재 제품 판가 인상과 수직계열화를 통해 원가경쟁력으로 인해 흑자전환이 예상됩니다.

◇ 재무제표 분석




▶ 부채비율이 100%를 넘어가긴 하나, 유보율이 23년 기준으로 8370%에 달하기 때문에 악재는 아니라고 보여집니다.

▶ ROE와 ROA 역시 플러스로 전환이 예상 됩니다.


◇ 투자지표



▶ PER 기준으로 보면 17.09배~43.74배 사이에서 움직임을 보입니다. (23년을 제외하고 19년부터 22년까지) 현재 PER은 높은 수준으로 보이나, PER을 적용하기엔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 전해액을 제외하면, 업종의 특성상 성장성 지표보다는 안정성 지표인 PCR을 적용하는 것이 개인적으로 맞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PCR는 지난 과거 12.81배~27.31배 사이에서 움직였으나, 현재 기준으로 8.77배 수준으로 적어도 12.81배까지는 상승해야 한다고 판단. 12.81배 기준으로 주가는 16700원 전후의 움직임을 보일 수 있다고 판단됩니다.


◇ 악재 (NH투자증권)

- 2022년 완공된 헝가리 공장 본격적인 가동을 못하고 있음.

- 24년 4분기 미국 공장 역시 순조로운 가동이 가능할지 확인 필요

 다만 전해액 이슈가 부각되면 또 다른 모멘텀이 될 가능성도 높음.


◇ 차트분석


▶ 실적에 근거해 보면 내년 사상최대 실적이 달성한다는 조건으로 중장기로 31500원 부근까지는 상승 여력은 있어 보입니다.


▶ 3분기 실적이 흑자전환이 되며, 4분기 실적 역시 실적이 증가한다면 보수적으로 보더라도 14000원 부근까지는 상승 여력이 충분해 보입니다.

▶ 참고로 손절가는 10800원을 잡고 대응해야 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빅테크가 인공지능(AI) 전력 부족에 대한 해법, 원전 투자 part 2.

빅테크가 인공지능(AI) 전력 부족에 대한 해법, 원전 투자  https://view.asiae.co.kr/article/2024101609571395997 이전글  <- 클릭 빅테크(거대 기술 기업)가 인공지능(AI) 전력 부족에 대한 해법으로 원전 투자에 나서면서 원전 및 우라늄 관련주가 꾸준히 오름세를 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모건스탠리는 주요 미국 원전 관련 기업의 주가 목표치를 높였다. 미국 원자력 발전 1위 기업인 콘스텔레이션 에너지(CEG)와 복합 에너지 기업인 비스타에너지(VIST)의 목표 주가를 기존 233달러, 110달러에서 각각 313달러, 132달러로 높였다. ◇ 비스타에너지(VIST) ▶ 기업개요 - 비스타 에너지는 멕시코 미구엘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 석유 및 가스의 탐사 및 생산에 관여하는 석유 및 가스 회사이다 . - 멕시코 , 아르헨티나 , 브라질 , 콜롬비아에서 라틴 아메리카의 유전 및 가스전 식별 , 인수 및 개발에 중점을 둔다 . - 북아메리카 이외의 지역에서 개발중인 가장 큰 셰일 석유 및 가스 플레이 인 Vaca Muerta 가 포함된다 . ▶ 실적분석  ▷ 24년에 이어 25년에도 사상최대 매출, 당기순이익 및 EPS 달성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3Q 매출액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EPS를 보면 2분기 대비 순이익은 줄어들 것으로 예측되며, 4Q는 매출액과 순이익 및 EPS가 3Q대비 모두 증가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  ▷ 최근 3개월 내에 3명의 애널리스트의 투자의견은 매수이며, 평균 목표가는 $57.67로 현재가 대비 20.55% 상승 여력이 있습니다.   ▷ 9월 27일 UBS는 Vista Oil & Gas, S.A.B. de C.V. (NYSE:VIST) 주식에 대한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매수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또한 목표주가를 기존 $55.00에서 $60.00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회사의 생산 전망이 지속적으로 기대치를 상회하고 있기...

빅테크가 인공지능(AI) 전력 부족에 대한 해법, 원전 투자 part 1.

 ◆ 미국 원전 관련주 ◇ 콘스텔레이션 에너지 (CEG)  ▶ 기업개요 원자력, 수력, 풍력, 태양광 발전 시설을 통해 1,600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발전 용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 내 무탄소 에너지의 약 10%를 생산한다. 통합 비즈니스 운영을 통해 다양한 유형의 고객에게 전기, 천연가스 및 기타 에너지 관련 제품과 지속 가능한 솔루션을 판매한다. 여러 지역의 시장에서 배전 유틸리티, 지방 자치 단체, 협동조합, 상업, 산업, 공공 부문 및 주거용 고객을 포함한 다양한 산업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텍사스 베이시티에 위치한 2,645메가와트급 이중 원전인 South Texas Project(STP)의 공동 소유 지분을 44% 소유하고 있다.   ▶ 실적분석  ▷ 24년 연간실적은 사상최대 실적 달성이 예상되며, 25년에도 실적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24년 3Q는 전분기대비 증가할 것으로 보이나, 4분기 실적은 3분기 대비 하락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 ▷ 투자의견은 매수의견이며 , 목표주가는 최저 $200~$205.12, 최고 $313~$328 이며 , 평균 컨센서는 $269.83~$271.6 입니다 .  ▶ 차트분석  ▷ 추세는 상승추세가 이어지고 있으며, 현 지지는 $250 / 저항은 $288.75 입니다. 향후 실적이 좋아진다고 하더라도 주가의 위치는 많이 높은 위치에 있습니다. ◇ 엑셀론 코퍼레이션 (Exelon Corporation –EXC)  ▶ 기업개요 유틸리티 서비스 지주 회사로 ComEd, PECO, BGE, Pepco, DPL, ACE 의 6 개 부문을 통해 에너지 배전 및 송전 사업에 종사한다 . ComEd 는 전기 소매 판매의 구매 및 규제에 관여한다 . PECO 는 전기와 천연가스의 소매 판매 구매 및 규제 업무를 담당한다 . 비즈니스 서비스 자회사인 엑셀론 비즈니스 서비스 컴퍼니 (BSC) 를 통해 법률 , 인적 자원 , 재무 , IT, 공급 관리 서비스 등 다양...

25/01/17 미국주식 특징주

[특징주] ■ 애플(AAPL) - 애플은 4.04% 급락한 228.26달러를 기록했다. 이로써 시총도 3조4330억달러로 줄었다. 이는 중국에서 판매가 급격히 둔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때 애플은 중국에서 부동의 판매 1위였다. 그러나 중국 업체들이 약진하며 판매 순위가 3위까지 밀렸다. ■ SNS 기업 메타(META)와 스냅(SNAP)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미국 내 틱톡 금지 또는 강제 매각을 막기 위해 나설 가능성이 제기 ■ 테슬라(TSLA) - 3.36% 급락한 413.82달러로 장을 마감했다. 테슬라가 사이버트럭 신차 모델 재고차량에 대해 할인을 제공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같은 소식에 지난해부터 부각됐던 마진 축소 우려가 재차 부각되며 주가에 영향을 주는 모습이다. 니콜라도 1.63% 하락한 1.21달러를 기록했다. 이에 비해 리비안은 3.59% 급등한 14.44달러로 장을 마감했다. 루시드도 1.32% 상승한 3.08달러로 장을 마감했다. ■ 지프와 램 브랜드를 보유한 자동차 제조업체 스텔란티스(STLA) - 2024년 4분기 차량 인도량이 9% 감소했다고 발표했습니다. 회사는 미국의 과도한 재고를 줄이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 넷플릭스(NFLX) - 씨포트리서치는 다음주 넷플릭스(NFLX)의 실적 발표를 앞두고 넷플릭스의 매출 성장, 마진 확대, 잉여현금흐름 등에 힘입어 핵심 보유 종목으로 부각될 것이라며, 투자의견을 기존 중립에서 매수로 한 단계 상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또한 목표주가를 955달러로 설정하며 낙관적인 전망을 제기했다. ■ TSMC(TSM) - TSMC의 지난해 4분기 주당순이익(EPS)은 2.24달러, 매출액은 269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월가 전망치 각각 2.18달러와 263억 달러보다 모두 높은 수준이다. 개장 전 거래에서 TSMC 주가는 전일대비 4.36% 오른 215.82달러에서 움직이고 있다. ■ AMD(AMD) - 울프리서치는 주요 데이터센터 칩 판매가 부진하다면서 AMD의 2025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