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2월, 2025의 게시물 표시

25/02/28 마감 및 관심주

     [섹터분석] ■ 화장품 - 중소기업 화장품 수출 호조 소식, 한한령 해제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지난해 4분기 중소기업 수출이 화장품과 자동차, 반도체 등을 중심으로 증가세를 이어간 것으로 전해짐. 중소벤처기업연구원이 28일 발표한 ‘KOSI 중소기업 동향 2월호’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중소기업 수출은 297억6,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9% 증가. 특히, 1위 수출품목인 화장품은 지난해 4분기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27.8% 증가하며 역대 4분기 최고 실적을 기록했음. ▷중국의 한한령 해제에 따른 수혜 기대감과 미국 시장 수출 확대 모멘텀이 지속되고 있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메리츠증권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한한령이 풀리면 다양한 문화 컨텐츠들이 중국 시장에 진입하면서 한국 화장품 브랜드 인지도 제고에도 분명히 도움이 될 것은 자명해 보인다고 설명. 이에 중국 사업은 이제 할인 요인이 아니라 플러스 알파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유심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밝힘. ▷키움증권은 미국 중저가 화장품 시장이 더딘 성장을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브랜드사들이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고 밝힘. 이어 국내 화장품 브랜드사들이 중장기적 관점에서 지속 가능한 성장을 바라보기 위해서는 니치(틈새) 시장에서 매스(대중) 시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며, 이에 따라 기대해볼 수 있는 성장 여력은 훨씬 클 것으로 전망. ▶ 마녀공장, 토니모리, 실리콘투, 한국콜마, 코스맥스, 삐아, 클리오 등 ■ 희귀금속(희토류 등)/ 페라이트 - 트럼프 대통령, 中 10% 추가 관세 부과 언급 소식 속 일부 관련주 상승 ▷트럼프 대통령은 27일(현지시간) 여전히 대량의 펜타닐 등 중국산 마약이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유입되고 있다며, 예정대로 내달 4일 두 나라에 대한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같은 날 중국도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받게 될 것이라며, 4월2일 상호관세 날...

25/02/28 미국주식 특징주

    [특징주] ■ 엔비디아(NVDA) - 전일 장 마감 이후 엔비디아가 공개한 전분기 실적은 주당순이익(EPS)0.89달러, 매출액 393억 달러였다. 이는 월가 추정치 각각 0.84달러와 380억 달러를 모두 웃돈 수준이다. - 월가에서는 여전히 엔비디아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일부 증권사들의 목표주가 상향 소식이 전해지며 주가는 다시 상승으로 방향 잡고 있다. - 모건스탠리는 데이터센터 부문의 매출 중 3분의 2가 호퍼가 다양한 부분에서 신규 블랙웰과 전례없는 복잡함이 얽혀있는 상태에서 엔비디아는 여전히 직전분기 대비 18% 성장했다며 투자의견은 비중확대를 유지, 목표주가를 기존 152달러에서 162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 시티그룹은 엔비디아의 총 마진 추정치는 자사 및 월가 전체 평균치보다 낮았지만 회계연도 하반기에 70%대 중반에 다다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며 장기투자자들에게는 CY(Calender Year)26년의 주당순이익을 고려했을 떄 밸류에이션 매력이 있으며 주가는 매력적인 진입점에 놓여있다고 평가 투자의견은 매수, 목표주가도 163달러를 유지했다.   테슬라는 3.04% 급락한 281.95달러를 기록했다. 시총도 9068억달러로 줄었다. 이는 미국 기업 중 시총 9위다. 불과 일주 전만 해도 테슬라는 시총 7위에 랭크돼 있었다. 루시드도 1.11% 하락한 2.23달러를 기록했다. 이에 비해 리비안은 1.75% 상승한 11.60달러로 장을 마감했다.   ■ 세일즈포스(CRM) - 지난 4분기 조정 주당순이익(EPS)이 전년 대비 21% 증가한 2.78달러를 기록해 월가 예상치인 2.61달러를 상회했다고 전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전년 대비 8% 증가한 99억9000만달러를 기록했지만 아쉽게도 시장 예상치인 100억4000만달러를 밑돌았다. - 2026 회계연도 연간 매출이 405억달러~409억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월가 예상치인 413억7000만달러...

25/02/27 마감 및 관심주

  [섹터 분석] ■ 미용기기 - 업황 성장 추세 지속 전망 등에 상승 ▷키움증권 - 피부미용 장비업체들에 대한 M&A 이야기가 자꾸 나오는 이유는 총 6가지를 들 수 있다며, 이는 예뻐지고 싶다는 본능에 따른 마르지 않는 샘, K-시대의 흐름, 글로벌 수요 흡수, 규제 장벽, 영업 장벽, 현금 창출 능력 등이라고 언급. 미용기기 업체 M&A 사례로는 `23년 7월에는 루트로닉이, `24년 7월에는 제이시스메디칼이 사모펀드로 최대주주가 변경되었던 전례가 있다며, 근황을 살펴보면 신제품 출시 → 빠른 국내 시장 침투 → 수출 성장 지속의 흐름을 통해 사업이 꾸준히 커지고 있다고 설명. 이와 더불어 재고자산, 매출채권 등의 재무 지표 안전성도 확보하여 순항 중이라고 밝힘. ▷인수 여부보다는 산업 전망이 중요하다며, 이는 향후 장비와 소모품 수요가 줄어들면 당연히 인수자 입장에서도 대금을 치를 마음이 줄어들 수밖에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 이와 관련, 주요 피부미용 장비 업체로 꼽히는 클래시스, 비올, 원텍은 각자의 지역에서 장비를 판매하고자 하는 준비를 끝마쳤다며, 성장을 기대할 만한 지역은 미국, 유럽, 브라질, 중국, 일본, 태국 등 문화권을 가리지 않는다고 설명. ▶ 레이저옵텍, 에이피알, 라메디텍, 동방메디컬, 클래시스 등 ■ 화장품 - 한한령 해제 수혜 기대감 지속 및 APEC 고위관리회의서 K-뷰티 인기 소식 등에 상승 ▷국이 5월께 '한한령'(한류 제한령)을 해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커지면서 K-뷰티를 이끄는 주역인 중소 화장품사들이 기대감을 키우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 국무원 판공청은 최근 외국계 기업과 민영 기업에 대한 규제를 풀겠다는 내용의 '2025년 외자 안정 행동 방안'을 발표했으며, 이는 외국인 투자 급감과 내수 부진에 따른 중국 경제 둔화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풀이되고 있음. 여기에 한국의 대(對)중국 외교가 본격화하면서 한중관계가 좋은 흐름을 탈 ...

25/02/27 미국 특징주

  [특징주] ■ 엔비디아(NVDA) -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는 전분기 실적은 충분히 예상치를 상회할 것으로 기대했으나 올 1분기 가이던스는 블랙웰 둔화와 중국 규제 영향으로 만족스럽지 못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엔비디아에 대한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한다고 덧붙였다. - 오는 3월 17일 예정된GPU 테크 컨퍼런스(GTC)가 가까워오면서 엔비디아 주가는 완만하게 회복될 것이라고 BofA는 전망했다. ■ 테슬라(TSLA) - 모건스탠리는 여전히 테슬라에 대한 투자의견을 시장 수익률 상회로 유지한다고 밝혔다. - 투자분석을 내놓은 증권사는 총 53곳이며 그 중 7곳이 강력매수를 16곳이 매수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반면 9곳이 테슬라에 대해 시장 수익률 하회와 4곳은 매도의견을, 나머지 17곳은 보유의견이다. 이들이 예상하는 테슬라에 대한 평균 목표주가는 338달러대다. ■ 전기차(EV) 제조업체 루시드(LCID) - 지난 분기에 주당순손실이 0.22달러, 매출이 2억3450만달러를 기록해 월가 예상치인 주당순손실 0.25달러, 2억1400만달러를 상회했다고 전했다. - 올해 2만대의 차량을 생산할 것으로 전망했다. 시장 예상치인 1만7000대를 상회하는 수준이며, 지난해 기록한 9029대 대비 2배 이상 상승한 것이다. - 루시드의 전 CEO인 피터 롤린슨이 물러나고, 최고운영책임자(COO)인 마크 윈터호프를 임시 CEO로 임명한 것을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 뱅크오브아메리카는 경영진 교체가 긍정적이지 않다면서, 투자의견을 매도로 하향 조정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3달러에서 1달러로 낮췄다. ■ 제너럴 모터스(GM) - 분기 배당금을 주당 15센트로 전보다 25% 늘리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한 60억 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 미국 빅3 자동차 제조업체 스텔란티스(STLA) - 2024 회계연도 순이익이 55억유로로 전년대비 70%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 예상치 64억유로를 하회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