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징주]
■ 엔비디아
- 3.08% 급등한 128.68달러를 기록했다. 이로써 시총도 3조1510억달러로 늘었다.
- 모건스탠리는 보고서에서 중국의 인공지능(AI) 업체 딥시크 충격으로 최근 엔비디아가 급락한 것은 저가 매수의 기회라며 매수를 추천했다.
-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클라우드 자본 지출은 여전히 견고하다며 엔비디아의 목표가를 190달러로 제시하고 '매수' 의견을 유지했다.
■ 아마존(AMZN)
- 실적 발표를 앞두고 개장 전 강보합권에서 움직이고 있다.
- 3개월간 주당순이익(EPS)이 1.47달러, 매출액은 1873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마이크로소프트(MSFT)
- 다이와증권은 마이크로소프트에 대해 목표주가는 매수를 유지하며, 목표주가를 기존 520달러에서 533달러로 상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테슬라는 관세 폭탄의 예외일 수 없다는 우려가 나오면서 1.02% 하락한 374.32달러를 기록했다.
루시드는 0.69% 하락한 2.89달러를, 니콜라는 4.41% 급락한 75센트를 각각 기록했다.
니콜라 주가는 파산보호 신청 임박 소식에 이날 시간 외 거래에서 20%대 급락했다.
이에 비해 리비안은 0.23% 상승한 12.80달러로 장을 마감했다.
■ 미국 자동차 제조업체 포드(F)
- 4분기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기록했지만 연간 가이던스가 시장 기대를 크게 밑돌며 6일(현지시간) 주가가 하락했다. 포드는 시장 요인에 따른 역풍이 올해 수익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 팔란티어
- 팔란티어는 9.79% 급등한 111.28달러를 기록했다.
- 웨드부시가 투자 의견을 '아웃퍼폼'(시장수익률 상회)으로 유지한 채 목표가를 90달러에서 120달러로 상향 조정했기 때문이다.
■ 퀄컴(QCOM)
- 전일 장 마감 이후 퀄컴은 회계연도 기준 1분기 주당순이익(EPS)이 3.41달러, 매출액은 116억7000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월가 전망치 각각 2.97달러와 109억3000만 달러보다 높은 수준이다.
- 2분기 QCT 사업부문의 매출액이 89억 달러~95억 달러 사이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직전분기 해당 사업부문의 매출액은 101억 달러임을 고려하면 성장 둔화가 우려되는 부분이다.
- 화웨이가 중국 내에서 반등하며 퀄컴에는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 애플(AAPL)이 퀄컴 칩을 대체할 수 있는 자체 모뎀 칩을 출시하면서 퀄컴의 미래 전망은 우려되는 상황이다.
Arm은 3% 넘게 떨어졌고, AMD도 1%대 하락률을 보였다. 반면 마이크론, TSMC 등은 1% 안팎으로 올랐다.
트럼프 관세 폭탄 우려가 지속되며 리플이 2% 이상 하락하는 등 대부분 주요 암호화폐(가상화폐)가 하락하고 있다.
■ 다국적 산업재 복합 기업 허니웰 인터내셔널(HON)
- 기업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3개 독립 기업으로 분할할 계획을 발표했다. 허니웰은 이에 따라 자동화, 항공우주, 첨단 소재 사업부로 각각 나뉠 예정이다.
- 이번 결정은 지난해 11월 행동주의 투자펀드 엘리엇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가 제안한 전략으로, GE가 항공우주, 에너지, 헬스케어로 분할해 수천억 달러의 주주 가치를 창출한 사례를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 실망스러운 전망이 분할 계획의 긍정적 영향을 일부 상쇄하며 실적 발표 후 주가는 하락세를 보였다.
구글이 5년 내 양자컴퓨팅 앱을 출시할 것이란 보도가 나오자 월가의 양자컴퓨팅 최대 수혜주 리케티 컴퓨팅(이하 리게티)의 주가가 4% 가까이 급락했다.
■ 피트니스 기구(실내 자전거) 생산 및 판매 기업 펠로튼 인터랙티브(PTON)
- 2분기 예상보다 큰 손실을 기록했지만 매출이 예상치를 상회하면서 6일(현지시간) 주가가 급등했다.
- 2025 회계연도 연간 매출을 24억3000만~24억8000만달러로 예상하며 현금 흐름과 수익성 개선 가능성을 강조했다.
■ 글로벌 담배업체 필립모리스 인터내셔널(PM)
- 2024회계연도 4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매출이 시장 예상치를 웃돌고 2025년 실적 가이던스도 긍정적으로 제시하면서 주가가 급등했다.
- 2025년 EPS 가이던스를 7.26~7.39달러로 제시했다. 이는 최저 구간조차 시장 예상치 6.99달러를 웃도는 수준으로 강한 실적 전망이 주가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 염브랜즈(YUM)
- 4분기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실적을 기록하고 인공지능(AI) 기반 솔루션 도입을 발표하면서 6일(현지시간) 주가가 상승했다.
- 새로운 AI 기반 소프트웨어 제품군 ‘바이트 바이 염(Byte by Yum!)’을 발표했다. 이 제품은 모바일 앱 및 웹 주문, POS(판매시점 정보관리), 주방 및 배송 최적화, 메뉴 관리, 재고 및 인력 관리 등을 포함하며 현재 전세계 2만5000개 이상의 염브랜즈 매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 염브랜즈는 분기 배당금을 6% 인상해 주당 71센트로 조정한다고 발표했다.
■ 무선통신용 반도체 설계·제조 기업 스카이웍스 솔루션스(SWKS)
- 올해 가을 출시 예정인 아이폰 17부터 애플 제품에 부품을 공급하는 사업 점유율이 20~25% 감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따라서 올해 4분기부터 내년까지 매출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 온라인 게임 플랫폼 업체 로블록스(RBLX)
- 4분기 예약매출(Booking) 13억6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21% 증가했지만 시장 예상치 13억7000만달러를 소폭 하회했다. 특히 전년동기 25% 대비 성장세가 둔화된 점이 부정적으로 작용했다.
- 일일순사용자(DAU)도 8350만명으로 전년동기 대비 19% 증가했지만 시장 예상치 8839만명에는 크게 미치지 못했다.
- 2025년 연간 예약매출을 52억~53억달러로 전망했다. 예상 범위의 중간값은 시장 예상치 53억달러를 소폭 하회하는 수준이다.
[기타 뉴스]
■ 글로벌 제약사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큅(BMY)
- 4분기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기록했지만 기대에 못 미치는 가이던스를 제시하면서 6일(현지시간) 주가가 하락했다.
- 2025년 연간 매출 가이던스를 455억달러로 제시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 473억6000만달러를 밑도는 수준이다. 또한 환율 변동으로 인해 약 5억달러의 매출 감소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했다. 연간 조정 EPS 역시 예상치 6.92달러보다 낮은 6.55~6.85달러 범위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 2027년까지 20억달러 규모의 비용 절감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비용 절감은 조직 개편과 운영 효율화를 통해 이루어질 예정이며 이를 통해 새로운 치료제 개발과 신약 브랜드 투자에 집중할 방침이다.
■ 의약품 개발 기업 일라이릴리(LLY)
- 4분기 체중 감량 약물 젭바운드와 당뇨병 치료제 마운자로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지만 실적은 엇갈렸다고 밝혔다.
- 2025 회계연도 연간 가이던스는 시장 예상과 부합했다. 일라이릴리는 연간 EPS가 22.05~23.55달러 사이가 될 것으로 전망했으며 연간 매출 가이던스는 580억~610억달러 범위로 유지했다.
- 차세대 비만 치료제 레타트루티드(retatrutide)의 임상 3상 데이터를 올해 안에 조기 공개할 계획이다. 경구용 비만 치료제 오포글리프론(Orforglipron)의 임상 결과도 올해 중반 발표할 예정이다.
■ 스마트 스피커 제조업체 소노스(SONO)
- 1분기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기록하면서 6일(현지시간) 주가가 상승했다.
- 비용 절감을 위해 전체 인력의 약 12%를 감축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1500만~1800만달러의 구조조정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 영국 제약업체 아스트라제네카(AZN)
- 2024년 4분기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하고 중국 규제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완화되면서 주가가 상승했다.
- 중국에서의 미납 수입세 문제도 시장의 우려를 완화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중국 당국과 협력 중이며, 암 치료제 임핀지와 임주도의 수입세 미납 가능성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번 사안과 관련해 부과될 벌금은 최대 450만달러 수준으로 예상돼 시장이 우려했던 최악의 시나리오보다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 종합 엔터테인먼트 및 OTT(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플랫폼 기업 월트디즈니(DIS)
- 모건스탠리는 디즈니가 강한 실적을 유지할 것이라며 목표가를 125달러에서 13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 골드만삭스는 디즈니의 EPS 성장 가능성이 높다며 목표가를 140달러로 유지했다.
- 울프리서치는 디즈니에 대한 투자의견을 동종업계 수익률로 유지했지만 현재 주가가 저평가돼있다고 분석했다.
- 바클레이즈는 디즈니에 대한 투자의견을 비중확대로 유지하며 목표가를 125달러로 제시했다.
■ 글로벌 산업용 가스 업체 린드(LIN)
- 2024회계연도 4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매출이 시장 예상치를 밑돌았으나 이익 증가로 인해 주가는 소폭 상승했다.
- 4분기 매출은 82억8000만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0.2% 감소하며 시장 예상치 83억6000만달러를 하회했다. 반면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3.97달러로 시장 예상치 3.93달러를 소폭 상회하며 전년동기 대비 10.6% 증가했다.
■ 글로벌 초콜릿 제조업체 허쉬(HSY)
- 4분기 매출은 28억9000만달러로 시장 예상치 28억4000만달러를 상회했다.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2.69달러로 시장 예상치 2.37달러를 크게 상회했다. 다만, 2025년 조정 EPS 전망치는 6.00~6.18달러로 시장 예상치 7.33달러를 하회했다. 이는 코코아 가격 상승에 따른 원가 부담이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 의료기기 제조업체 벡톤(BDX)
- 2024회계연도 1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으나 연간 가이던스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주가가 하락했다.
- 벡톤의 1분기 매출은 51억7000만달러로 시장 예상치 51억1000만달러를 상회했다.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3.43달러로 예상치 2.99달러를 웃돌며 전년동기 대비 증가했다.
- 2025회계연도 가이던스가 실망스러운 수준으로 제시됐다.
■ 글로벌 온라인 여행 플랫폼 익스피디아그룹(EXPE)
- 2024회계연도 4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고 배당 재개를 발표하면서 주가는 상승했다.
- 2025년 3월부터 분기 배당을 재개하며 주당 0.40달러 배당을 발표했다. 또한 2024년 동안 16억달러 규모의 자사주 1200만주를 매입하며 주주환원 정책을 강화했다.
[시간외 특징주]
■ 글로벌 e커머스 및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 아마존닷컴(AMZN)
- 22024회계연도 4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실적은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으나 2025회계연도 1분기 매출 전망이 기대에 못 미치면서 주가는 하락했다.
- 정규장에서 전일대비 1.13% 상승한 238.83달러에 거래를 마친 아마존 주가는 실적발표 이후 시간외 거래에서 4.88% 하락한 227.17달러를 기록했다.
■ 글로벌 비디오게임 개발사 테이크투인터랙티브(TTWO)
- 2024회계연도 3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시장 예상치를 소폭 하회했으나 적자 폭이 예상보다 줄었고 기대감 높은 신작 출시 일정이 확인되면서 주가는 상승했다.
- 정규장에서 전일대비 1.00% 하락한 183.08달러에 거래를 마친 테이크투 주가는 실적 발표 이후 시간외 거래에서 7.06% 상승한 196달러를 기록했다.
■ 글로벌 화장품 기업 엘프뷰티(ELF)
- 2024회계연도 3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매출은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지만 주당순이익(EPS)이 기대에 못 미쳤고 연간 가이던스를 하향 조정하면서 주가가 급락했다.
- 정규장에서 전일대비 1.34% 상승한 88.49달러에 거래를 마친 엘프뷰티 주가는 실적발표 이후 시간외 거래에서 25.83% 급락한 65.79달러를 기록했다.
■ 전력 관리 솔루션 업체 모놀리식파워시스템즈(MPWR)
- 2024회계연도 4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으며, 1분기 매출 가이던스도 컨센서스를 상회하면서 주가는 상승했다.
- 정규장에서 전일대비 1.08% 상승한 660.90달러에 거래를 마친 모놀리식파워 주가는 실적발표 이후 시간외 거래에서 10.46% 추가 상승한 730달러를 기록했다.
■ Pinterest (PINS)
- 혼조세를 보인 실적에도 긍정적인 가이던스를 제시하며 20% 상승했습니다. 2025년 1분기 매출은 8억 3,700만-8억 5,2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3-15%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고정 환율 기준으로는 15-17%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Cloudflare (NET)
- 강력한 실적과 가이던스를 발표하며 6% 상승했습니다. 분기 매출은 4억 5,990만 달러로 시장 예상치 4억 5,204만 달러를 상회했습니다.
■ Affirm Holdings (AFRM)
- 견고한 실적을 발표하며 12% 상승했습니다. 분기 매출은 8억 6,600만 달러로 시장 예상치 8억 562만 달러를 상회했습니다.
■ BILL Holdings (BILL)
- 투자자들의 실망스러운 가이던스로 25% 하락했습니다. Bill.com은 2025년 3분기 매출을 3억 5,250만-3억 5,750만 달러로 전망했으나, 시장 컨센서스는 3억 6,040만 달러였습니다.
■ Fortinet (FTNT)
- 예상을 크게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하며 11% 상승했습니다. 4분기 총매출은 59억 6,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2% 증가했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