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징주]
대형 기술주 그룹을 일컫는 '매그니피센트7'(M7)의 고평가 논란이 지속되는 가운데 인공지능(AI) 분야 주도주인 엔비디아는 이날 1.25% 하락했고, 아마존(-1.65%), 알파벳(-0.92%). 마이크로소프트(-0.58%)도 약세를 보였다. 다만 최근 주가가 약세를 보인 애플(1.83%)과 테슬라(2.44%)는 강세로 마감했다.
메타(0.78%)는 이날도 강세를 보이면서 18거래일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다. 이는 1985년 1월31일 나스닥100 지수가 산출된 이후 최장 기간 연속 상승 기록이다. 지난 4일 역대 처음 700달러선(종가 기준)을 넘어선 데 이어 고점을 계속 높여가고 있으며, 시가총액도 1조8370억달러를 기록해 2조달러에 근접했다.
■ 커피 체인 업체 더치브로스(BROS)
- 지난 4분기에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매출 및 이익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 혁신, 유료 미디어, 더치 리워드 로열티 프로그램에 대한 투자가 성장 모멘텀에 기여하고 있으며, 향후 상당한 성장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모바일 주문 시스템 도입과 새로운 식품 제품 준비는 추가적인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앱 광고 기술 기업 앱플로빈(APP)
- 4분기 실적호조와 AI 광고 사업 확장 기대감에 힘입어 주가가 급등했다.
- 2025년 1분기 매출 가이던스를 13억6000만~13억9000만달러로 제시하며 시장 예상치 13억2000만달러를 상회했다. 이 중 10억달러 이상이 광고 사업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며 AI 모델 고도화를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 MGM리조트인터내셔널(MGM)
- 지난 4분기 총매출 및 이익이 둔화했다고 발표했다. 다만 중국 내 MGM리조트 카지노 사업이 기록적인 실적을 기록하면서 이를 상쇄했다고 설명했다. 회사는 올해 강력한 수요에 따른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 크록스(CROX)
- 지난 4분기에 헤이듀드 브랜드 사업 안정화에 힘입어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호실적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회사는 실적 턴어라운드를 위한 노력의 결실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 2025 회계연도 연간 매출 성장률 전망치는 2%~2.5%, EPS 전망치는 12.70달러~13.15달러로 시장 예상치인 12.58달러를 상회했다.
■ 온라인 주식·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로빈후드(HOOD)
- 4분기 예상치를 크게 뛰어넘는 성과를 기록하며 13일(현지시간) 주가가 급등했다.
- 프리미엄 서비스인 ‘로빈후드 골드’ 가입자 수도 260만명으로 분기 기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골드 구독자는 일반 고객보다 자산 이전과 서비스 활용 비율이 높아 실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주류업체 몰슨쿠어스(TAP)
- 4분기 매출은 27억4000만달러로 전년대비 2% 감소했지만 예상치 27억달러를 넘어섰다. 판매량은 6.4% 감소했으나 가격 인상으로 매출 감소폭이 완화됐다.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1.30달러로 예상치 1.13달러를 웃돌았다.
- 몰슨쿠어스는 올해 환율 영향을 제외한 매출이 낮은 한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EPS는 높은 한 자릿수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의료 기술 및 약물 진단 기업 GE헬스케어(GEHC)
- 4분기 초음파 영상 장비와 진단 의약품 부문의 강력한 성장에 힘입어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전년 동기 1.18달러에서 1.45달러로 상승했다. 이는 팩트셋이 집계한 애널리스트 예상치 1.26달러를 웃도는 결과다.
- GE헬스케어는 2025 회계연도 연간 조정 EPS 가이던스를 4.61~4.75달러 범위로 제시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 4.66달러에 부합하는 수준이다.
■ 글로벌 종합 반도체 기업 인텔(INTC)
- 미국 반도체 산업에 대한 정부의 정책 지원 기대감에 13일 주가 상승세를 이어갔다.
- 밴스 부통령의 발언은 칩 설계와 제조를 모두 수행하는 인텔에 대한 투자 기대감을 크게 끌어올렸다. 특히 인텔은 최근 타사 칩 제조를 위한 파운드리 사업 확장에도 집중하고 있어 정부의 정책 지원이 제조 비용 부담을 완화하고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는 기대를 받고 있다.
■ 의료기기업체 웨스트 파마슈티컬 서비시즈(WST)
- 2025 회계연도 연간 가이던스가 시장 예상치를 크게 밑돌면서 13일 주가가 급락했다.
- 4분기 조정 주당순이익(EPS)는 1.82달러로 예상치 1.72달러를 넘어섰다. 매출은 7억4900만달러로 예상치 7억4000만달러를 웃돌았다.
- 연간 매출 가이던스를 28억7500만~29억500만달러 범위로 제시했다. 이는 애널리스트 예상치 30억3900만달러를 하회하는 수치다. 연간 조정 주당순이익(EPS)역시 예상치 7.45달러보다 낮은 6~6.20달러 사이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 광고 기술 플랫폼 트레이드데스크(TTD)
- 구조 개편으로 인해 분기 조정 주당순이익(EPS)이 0.59달러를 기록해 월가 예상치인 0.57달러를 상회했다고 전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7억4100만달러로 시장 예상치인 7억5890만달러를 밑돌았다.
- 1분기 매출이 최소 5억7500만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시장 예상치인 5억8210만달러를 하회하는 수준이다.
■ 산업 및 소매 전자기기 공급업체 지브라 테크놀로지스(ZBRA)
- 4분기 주당순이익(EPS)은 4달러로 전년대비 134% 증가했다. 이는 월가 예상치 3.94달러를 소폭 상회한 결과다. 매출은 전년대비 32% 증가한 13억3000만달러로 예상치 13억2000만달러를 웃돌았다.
- 그러나 무역, 관세, 환율 문제로 인한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로 2025 회계연도 연간 가이던스가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투자 심리가 악화됐다. 지브라는 연간 매출 성장 가이던스를 예상치 8%보다 낮은 5%로 제시했다. 연간 EPS 역시 예상치 16달러보다 낮은 15달러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 레딧(RDDI)
- 지난해 4분기 일일 활성화 방문자수가 예상치를 밑돌았다고 전했다.
- 지난해 2분기까지 두 분기 연속 EPS 손실을 보였던 레딧은 지난해 3분기 0.16달러 수익으로 돌아선 뒤 개선된 모습을 이어가고 있다.
[기타 뉴스]
■ 시스코 시스템즈(CSCO)
- 전분기 주당순이익(EPS)이 0.94달러, 매출액은 14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월가 전망치 각각 0.91달러, 138억7000만 달러를 모두 상회했다.
- 2025회계연도 연간 매출 가이던스도 553억 달러~563억달러로 제시하며 기존 LSEG가 집계한 월가 추정치 559억9000만 달러을 웃돌 것이라는 기대감을 유효하게 했다.
- AI구동에 필요한 데이터센터에 대한 투자가 급증하며 그에 따른 수혜를 입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 디어앤코(DE)
- 지난 분기에 기대 이상의 이익을 기록했다고 발표하고, 이전에 제시했던 가이던스를 유지한다고 밝혔다. 다만 투자자들은 아쉬운 매출 실적에 우려하는 모습이다.
- 시장은 디어앤코의 연간 장비 매출이 전년 대비 약 15%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미국 내 대형 장비 매출이 2025 회계연도에 30%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 패스틀리(FSLY)
- 지난 4분기에 예상보다 더 큰 폭의 손실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 연간 조정 주당순손실 전망치는 0.15달러~0.09달러, 매출 전망치는 5억7500만달러~5억8500만달러로 제시했다. 시장의 EPS 예상치인 0.03달러를 크게 하회했다.
■ 미국 가전기업 샤크닌자(SN)
- 4분기 주당순이익(EPS)은 전년 동기 35센트에서 91센트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조정 EPS는 1.40달러로 예상치 1.27달러를 넘어섰다. 매출은 전년대비 30% 증가한 17억9000만달러를 기록하며 예상치 16억3000만달러를 웃돌았다. 샤크닌자는 모든 제품군에서 매출이 증가했으며 특히 아이스크림 제조기, 냉동 음료 기기 등 푸드 프렙 부문 매출이 89% 증가하며 성장을 이끌었다고 전했다.
- 2025 회계연도 연간 매출이 전년대비 10~12%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조정 EPS는 4.80~4.90달러 사이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월가에서는 매출 9.3% 증가 및 조정 EPS 4.86달러를 예상하고 있다.
■ 허츠글로벌홀딩스(HTZ)
- 허츠는 지난 분기 순손실이 4억7900만달러, 주당순손실이 1.56달러를 기록해 전년 동기에 기록한 순손실 3억4800만달러, 주당순손실 1.14달러 대비 손실폭이 확대됐다고 전했다. 조정 주당순손실은 1.18달러로 시장 예상치인 주당순손실 0.69달러를 하회했다. 평소보다 많은 차량을 매각하면서 예상보다 큰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 허츠는 차량 한 대당 감가상각 비용(DPU)을 정상화하는 것으로 목표로 하고 있으며, 지난해 4분기의 422달러에서 올해 연말까지 300달러 이하로 낮출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 웬디스(WEN)
- 7개 분기만에 처음으로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동일매장매출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다만 다소 아쉬운 가이던스를 제시하면서 주가는 하락하는 모습이다.
- 패스트푸드 업계는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외식에 신중한 소비자들의 부담을 받고 있다.
- 2025 회계연도 연간 조정 EPS 가이던스를 0.98달러~1.02달러로 제시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인 1.04달러를 하회하는 수준이다.
- 2분기부터 분기당 배당금이 기존 주당 0.25달러에서 0.14달러로 감소할 예정이다. 웬디스는 올해 자사주를 최대 2억달러 매입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글로벌 전력 시스템 구축 기업 GE 버노바(GEV)
- 베어드는 에너지 수요 증가에 따른 수혜를 입을 것으로 분석하며, 시장수익률 상회 의견으로 커버리지를 시작했다. 목표가는 448달러이다.
- GE 버노바를 다루는 애널리스트 28명 중 21명이 매수 또는 강력 매수 의견을 제시하고 있으며 평균 목표가는 422.33달러다.
■ CVS 헬스케어(CVS)
- 호실적 발표 이후 증권사가 목표주가를 상향조정하며 강세가 이어지고 있다.
- 리링크 파트너스는 CVS 헬스케어에 대한 투자의견을 `시장 평균수익률`에서 `시장 수익률 상회`로 올리고 목표주가도 75달러로 상향조정했다.
- CVS 헬스케어의 주가가 미국의 의료혜택(HCB)와 약국 혜택 관리(PBM) 개선에 대한 리스크로 지난해 말 급격한 하락을 보였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올해들어 시장은 CVS 헬스케어가 저점을 찍었다는 인식이 확산되며 반등을 시도해 2025년에만 45% 넘는 수익률을 얻고 있다.
■ 듀폰(DD)
- 바클레이즈는 듀폰(DD)에 대한 투자의견을 기존 비중축소에서 동일비중으로 한 단계 상향 조정하고 목표주가를 85달러에서 89달러로 높였다고 밝혔다.
- 2025년 이후 주요 임상 결과 발표가 예정된 가운데 신약 개발 성과에 따라 기업가치가 한층 더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또한 2025년이 아스트라제네카의 주요 촉매 역할을 할 한 해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 미국 반려동물 식품 시장에서 신선 사료·간식 제조업체 프레시펫(FRPT)
- 2006년 설립된 프레시펫은 현재 미국 신선 반려동물 식품 시장의 95%를 점유하며 지난해 약 10억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 주요 경쟁사들이 건사료와 캔사료에 집중하는 반면 프레시펫은 냉장 제품을 통해 차별화된 품질과 신선함을 제공하면서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했다. 특히 당근과 시금치를 곁들인 곡물 없는 닭고기 등 사람도 먹을 수 있을 법한 고품질 재료를 사용한 제품군이 인기를 끌었다.
- 오펜하이머는 반려동물 식품 트렌드도 사람들이 건강한 식습관을 추구하고 프리미엄, 천연, 유기농, 깨끗한 제품을 더 많이 구매하는 추세와 유사하다며 프레시펫에 대한 투자의견을 시장수익률 상회로 제시하고 목표가를 180달러로 책정했다.
- TD코웬은 오는 20일로 예정된 4분기 실적발표에서 프레시펫이 긍정적 매출 성장과 이익 가이던스를 제시할 경우 최근 하락세를 보인 주가가 반등할 것이라며 매수 의견과 174달러의 목표가를 제시했다.
■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HPE)
- GB200 NVL2는 엔비디아의 AI GPU 블랙웰 기반의 대형 서버 제품으로 지난해 9월부터 대량생산 시점이 연기되며 시장이 이를 예의주시해왔다.
-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는 GB200 NVL2의 첫 출하를 통해 고급 직접 액체 냉각 솔루션을 갖춘 매우 크고 복잡한 AI 클러스터를 배포해 서비스 제공업체와 기업들이 성능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 바이오테크 기업 사이토키네틱스(CYTK)
- 모건스탠리는 사이토키네틱스(CYTK)에 대해 투자 리스크 완화 및 향후 성장 가능성을 이유로 투자의견을 기존 ‘보유’에서 ‘매수’로 상향했다. 다만 목표가는 기존 70달러에서 67달러로 소폭 하향조정했다.
■ 클라우드 기반 마케팅 소프트웨어 기업 허브스팟(HUBS)
- 키뱅크는 허브스팟(HUBS)에 대해 가격 정책 변경에 따른 리스크가 해소되고, 향후 성장 모멘텀이 강화될 것이라며 투자의견을 기존 ‘중립’에서 ‘매수’로 상향하고 목표가는 920달러로 제시했다.
- 2025년 실적 가이던스가 발표된 현 시점에서 허브스팟의 청구 매출 증가, 순유지율 개선, AI 기반 수익화 모델이 추가적인 성장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 미국 유통 대기업 월마트(WMT)
- 모건스탠리는 월마트의 전자상거래 부문 성장과 오프라인 매장의 디지털 전환이 수익성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하며, 월마트에 대한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하면서 목표가를 기존 97달러에서 112달러로 상향조정했다.
■ 글로벌 공연 및 티켓팅 기업 라이브네이션(LYV)
- 골드만삭스는 라이브네이션의 4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충족하거나 상회할 가능성과 티켓 판매 증가, 매출 성장, 조정 영업이익(AOI) 개선이 예상된다며 라이브네이션(LYV)에 대해 4분기 실적 기대감과 견조한 성장 전망을 반영해 목표가를 기존 148달러에서 166달러로 상향하고 ‘매수‘ 의견을 유지했다.
- 헤지펀드 서드포인트가 최근 라이브네이션 지분을 신규 매입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는 DOJ 반독점 소송 여파로 주가가 하락한 이후 발생한 거래다.
- 오펜하이머와 구겐하임도 라이브네이션에 대해 각각 155달러, 160달러의 목표가를 제시하며 ‘매수’ 의견을 유지했다.
■ 알파모더스(AMOD)
- 연간 7500만 달러의 광고수익을 목표로 AI기반 소매사업을 대폭 확장하겠다고 밝혔다.
- 알파모더스의 AI기반 캐시X는 운영을 시작했으며 2026년 말까지 완전히 마무리될 것이며, AI기술 통합은 올해 하반기에 이루어질 것으로 알려졌다.
■ 중국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 제공업체 진신 테크놀로지(NAMI)
- 텐센트 클라우드 및 쓰촨 교육출판사와 전력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더고 발표하면서 13일(현지시간) 주가가 상승했다.
- 이번 파트너십은 초중고 학생들을 위한 대규모 상업용 AI 학습 솔루션을 공동 개발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텐센트 클라우드는 중국의 대표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제공업체이며 쓰촨 교육출판사는 초중고 교과서, 교재, 학생들의 교외 독서 자료 및 교육 관련 학술서를 출판하는 중국 출판사다.
- 세 회사가 공동 개발하는 AI 학습 제품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 개인 맞춤형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 플랫폼은 후이쉐 AI 클라우드(Huixue AI Cloud)라는 이름으로 오는 7월 출시될 예정이다.
[시간외 특징주]
■ 데이터센터 운영 기업 디지털리얼티트러스트(DLR)
- 2024회계연도 4분기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매출은 시장 예상치를 하회했으나, 주당순이익(EPS)은 기대치를 웃도는 엇갈린 실적을 기록했다.
- 정규장에서 디지털리얼티트러스트 주가는 전일대비 0.97% 상승한 164.81달러에 마감했으나 실적발표 이후 시간외 거래에서 1.10% 하락한 163달러를 기록했다.
■ 카지노 운영 기업 윈리조트(WYNN)
- 2024회계연도 4분기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미국 카지노 매출 호조에 힘입어 시장 예상치를 크게 상회하는 주당순이익(EPS)을 기록했다. 마카오 사업 부문의 부진이 일부 부담으로 작용하며 실적 발표 후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소폭 하락했다.
■ 통신 및 보안 솔루션 기업 모토로라솔루션스(MSI)
- 4분기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부문의 견조한 성장에 힘입어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주당순이익(EPS)을 기록해 시간외 거래에서 주가가 상승했다.
■ 숙박 공유 플랫폼 에어비앤비(ABNB)
- 2023회계연도 4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성과를 기록했다. 예약 증가와 견조한 수요가 실적 개선을 견인하며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급등했다.
■ 사이버보안 기업 팔로알토네트웍스(PANW)
- 2분기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매출이 시장 기대를 상회했으나 주당순이익(EPS)이 예상치를 밑돌며 시간외 거래에서 주가가 하락했다.
■ 반도체 장비업체 어플라이드머티어리얼즈(AMAT)
- 2024회계연도 1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시장 기대치를 상회했다. 그러나 2분기 실적전망이 예상보다 부진하게 나오면서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하락했다.
■ 비디오게임 소매업체 게임스탑(GME)
- 비트코인을 포함한 암호화폐 투자 가능성을 검토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며 시간외 거래에서 주가가 급등했다.
- 게임스탑은 비트코인을 포함한 대체 자산 투자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으며 해당 전략이 회사의 사업 모델에 적합한지 평가하는 단계에 있다. 다만 투자 결정이 최종적으로 이뤄진 것은 아니며 진행 여부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 스포츠 베팅 플랫폼 드래프트킹즈홀딩스(DKNG)
- 4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시장 예상치를 충족했다. 또한 연간 매출 전망치를 상향 조정하면서 투자 심리가 개선돼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상승했다.
■ 클라우드 기반 고객 참여 플랫폼 트윌리오(TWLO)
- 4분기 실적은 시장예상치를 소폭 상회했으나 1분기 가이던스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시간외 거래에서 주가가 급락했다.
■ 슈퍼마이크로(SMCI)
- 3분기 매출액 가이던스는 50억~60억 달러로 시장 예상치를 하회했다.
- 2025 연간 가이던스의 경우도 기존 260억~300억에서 235억~250억 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2026의 경우 연간 매출액 400억달러를 가이던스로 제시하며 예상을 크게 상회했다.
■ Coinbase (COIN)
- 매출과 순이익 모두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한 후 3% 상승했습니다.
■ Roku (ROKU)
-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 발표 후 15% 급등했습니다. 4분기 주당순이익은 -$0.24로, 애널리스트 예상치 -$0.42를 $0.66 상회했습니다. 분기 매출은 $12억으로 시장 예상치 $11.5억을 상회했습니다.
■ Informatica (INFA)
- 4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하회하며 23% 하락했습니다. 분기 매출은 $4.283억으로 시장 예상치 $4.5686억을 하회했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