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25/03/20 미국주식 특징주

 



[특징주]

■ 엔비디아(NVDA)

-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지난 18일 GTC 컨퍼런스에 기조연설자로 나서며 블랙웰을 이를 차세대 AI 칩 ‘루빈’을 포함한 로드맵을 공개했다. 황 CEO는 내년 하반기에는 루빈을, 2027년에는 루빈 울트라, 2028년에는 파인먼을 각각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 제프리즈는 모든 면에서 계속되는 혁신 속도는 인상적이라며 그러나 총시장규모(TAM) 확대를 위해 보다 많은 증거를 기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투자의견을 매수로, 목표주가는 160달러를 유지한다.

- 뱅크오브아메리카도 엔비디아가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평가하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200달러를 제시했다.

- 시티그룹은 젠슨 황 CEO의 기조연설을 듣고 그의 리더십에 안심했다며 엔비디아의 노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목표주가 163달러에 매수의견을 유지한다고 강조했다.

- 에버코어ISI는 최근 약세를 매수의 기회로 보고 있다는 분석과 함께 투자의견 시장 수익률 상회, 목표주가를 190달러로 평가했다.

■ 페이스북 모회사인 메타(META)

- 캐시우드의 아크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 아크이노베이션ETF(ARKK)는 메타의 주식 1만2595주를 매도했으며, 18일에도 2160주를 추가로 매각한 것으로 확인됐다. 캐시우드가 메타 주식을 매각한 것은 약 1년 만에 처음이다.

- ARKK는 여전히 메타 주식을 25만 주 이상 보유하고 있으며, 보유 지분 가치는 약 1억5000만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테슬라(TSLA)

- 캔터 피츠제럴드는 테슬라를 포기한 투자자들이 큰 그림을 놓치고 있다며 일론머스크 CEO의 정치활동과 글로벌 경쟁 심화에 대한 우려로 최근 주가가 크게 밀렸지만 이는 매수의 기회라고 강조하며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비중확대로 상향 조정하며 목표주가는 425달러를 유지했다.

- 테슬라의 기대 모멘텀은 로보택시와 올 상반기 저가형 차량 도입, 중국과 유럽에서의 완전자율주행(FSD) 기능 출시 등이었다.

- FSD와 로보택시, 에너지저장장치, 옵티머스 로봇의 향후 기대 매출은 상승은 장기적으로 테슬라의 미래의 기초가 되어줄 것이라며 미국 내 자율주행차량 공유산업에서도 테슬라의 잠재력은 낙관적이고 사이버택시 출시 이후 시장점유율도 빠르게 따라잡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캘리포니아 공공시설위원회(CPUC)는 테슬레에 일반 운전자가 운전하는 서비스에 발급되는 운송용 전세기 운송업체(TCP)에 부여하는 허가를 내줬다고 밝혔다.

 

■ 넷플릭스(NFLX)

- 넷플릭스는 2018년 공상과학(SF) 시리즈 ‘화이트 호스(White Horse)’ 제작을 위해 5500만달러를 투자했으나, 해당 제작자 칼 에릭 린쉬가 이를 사적으로 유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미국 연방 검찰에 따르면 린쉬는 제작비를 고위험 투자에 사용하거나 초호화 소비에 탕진했고, 결국 단 한 편의 에피소드도 제작하지 않았다.

- 시간외거래에서 0.11% 추가 상승한 960.55달러를 기록했다.

■ 디자인 소프트웨어 기업 오토데스크(ADSK)

- 스타보드가 오토데스크의 연례 주주총회에 맞춰 소수 이사 후보를 추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스타보드는 약 5억달러 규모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 글로벌 종합 반도체 기업 인텔(INTC)

- 인텔 주가는 지난 12일 전 이사회 멤버 립부 탄이 신임 CEO로 선임된다는 발표 이후 랠리를 지속하며 지난 5거래일간 25% 급등했다.

- 이번 급락의 명확한 원인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최근 급등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 출회나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결정을 앞둔 포트폴리오 조정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 로빈후드(HOOD)

- 컴퍼스포인트는 로빈후드(HOOD)의 긍정적인 전망을 주목하라면서 투자의견을 매수로 커버리지를 개시하고 목표주가를 61달러로 설정했다

- 로빈후드가 1200만명에 달하는 암호화폐 사용자들의 평균 사용자당 매출(ARPU)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특히 향후 미국의 우호적인 규제 환경이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약 6억6500만달러의 신규 매출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 2026년 로빈후드의 EBITDA가 시장 예상치보다 16% 높을 것으로 전망했으며, 현재 시장은 올해 1분기 이후 산업 성장세를 다소 보수적으로 예측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 보잉(BA)

- 브라이언 웨스트 CFO는 이날 뱅크오브아메리카 투자자 컨퍼런스에서 올해 좋은 출발을 하고 있다며 이번 분기 현금 소진이 완화되고 공장운용은 개선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다수의 제조 및 안전 위기속에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도 지속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 시그넷주얼러스(SIG)

- 지난 4분기 조정 주당순이익(EPS)이 6.62달러, 매출이 24억달러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인 6.25달러, 23억달러를 모두 상회하는 수준이다.

- 1분기 총매출 가이던스는 15억달러~15억3000만달러로 시장 컨센서스인 15억달러를 웃돌았다.

- 시그넷주얼러스의 구조조정 계획에 긍정적으로 반응하고 있다. 회사는 부동산 최적화 전략에 집중하고 있으며, 향후 3년 동안 쇼핑몰 내 매장의 10% 이상을 몰 외부 매장과 전자상거래 채널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바이오테크 기업 길리어드 사이언스(GILD)

- 미국 정부 보건복지부(HHS) HIV 예방 프로그램 예산 삭감을 고려하고 있다는 소식

-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1980년대부터 HIV 예방을 위한 전담 부서를 운영해왔으며 감염 현황 모니터링 외에도 지역사회와 협력해 검사 및 예방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의회는 2023년 HIV를 포함한 전염병 예방을 위해 CDC에 약 14억달러의 예산을 승인했다. 그러나 최근 트럼프 행정부가 연방 지출 전반에 대한 감축을 추진하고 있어 이 예산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돼왔다.

 

 

 

 

 

■ 브라질 핀테크 기업 스톤코(STNE)

- 4분기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2.26브라질헤알로 예상치 1.96헤알을 크게 상회했다. 매출은 전년대비 7.5% 증가한 360만헤알로 예상치에 부합했다.

■ 할인 소매업체 올리스 바겐 아웃렛(OLLI)

- 4분기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1.19달러로 예상치에 부합했다. 매출은 6억6710만달러로 예상치 6억7500만달러에는 못 미쳤지만 전년 동기 6억4890만달러보다는 증가했다. 동일 매장 매출은 2.8% 증가했으며 이는 예상치 2.4%를 상회하는 수치다.

- 4분기 13개의 신규 매장을 열었으며 2025 회계연도 신규 오픈 목표를 기존 50개에서 75개로 상향 조정했다. 또한 최근에는 빅로츠가 운영하던 점포 40곳을 인수했다고 발표했다.

- 올리스는 연간 매출 가이던스를 25억6000만~25억9000만달러, 연간 조정 EPS 가이던스는 3.65~3.75달러 범위로 제시했다.

 

■ 의료 금융 회사 헬스에퀴티(HQY)

- 지난 분기에 순이익이 2640만달러, 주당순이익(EPS)이 0.30달러를 기록해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고 전했다. 조정 EPS는 0.69달러로 시장 예상치인 0.72달러를 하회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전년 대비 19% 증가한 3억1180만달러를 기록해 월가 컨센서스인 3억580만달러를 웃돌았다.

- 2026 회계연도 연간 조정 EPS 가이던스를 3.57달러~3.74달러로 제시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인 3.71달러를 하회하는 수준이다. 또한 연간 매출 전망치는 12억8000만달러~13억1000만달러로 시장 컨센서스인 13억달러를 소폭 밑돌았다.

 

[기타 뉴스]

■ 미국 식품업체 제너럴밀즈(GIS)

- 지난 분기 조정 주당순이익(EPS)이 1달러를 기록해 월가 예상치인 0.96달러를 상회했다고 전했다. 다만 같은 기간 순매출은 전년 대비 5% 감소한 48억달러로 시장 컨센서스인 49억6000만달러를 밑돌았다.

- 연간 유기적 순매출 전망치를 기존 보합~1% 증가에서 1.5%~2% 감소로 낮췄다. 연간 조정 EPS 가이던스는 기존 예상치인 1%~3% 감소에서 7%~8% 감소로 하향 조정했다.

- 관세 적용 범위와 시행 시기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어, 이번 전망에는 새로운 관세 영향이 반영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 골드만삭스(GS)

- 오펜하이머는 골드만삭스(GS)에 대해 M&A 활동과 그에 따른 자금조달 시장의 반등이 지연되거나 취소된 점을 투자의견을 시장수익률 상회에서 시장수익률로 하향 조정의 사유로 언급하며, 목표주가 709달러도 함께 철회했다.

■ 홈디포(HD)

- 경영진이 자사주를 대규모 매입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수년 만에 처음으로 회사 내부자가 주식을 매입한 것이다.

- 홈디포 수석 이사는 지난 14일 자사주 2884주를 주당 평균 346.66달러에 매입했다고 밝혔다. 총 매입 규모는 약 100만달러이다.

■ 항공우주·방산 기업 RTX(RTX)

- 베어드는 RTX(RTX)에 대한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시장수익률 상회로 상향 조정했다. 목표가는 136달러에서 160달러로 높였다.

- 중동과 유럽의 지정학적 갈등 심화가 RTX에 수요 촉진 요인이 되고 있으며 이익률 개선도 주목할 만하다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판 아이언돔’을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밝히면서 RTX가 이 계획의 수혜 기업으로 부각되고 있다.

- 유럽의 수십 년에 걸친 재무장 계획도 RTX에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 쉘(SHEL)

- TD코웬은 쉘(SHEL)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지지한다면서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81달러에서 82달러로 소폭 상향 조정했다.

- 재무 건전성과 주주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능력에 주목해야 한다면서 향후 긍정적인 성과를 보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025년~2027년 잉여현금흐름 수익률은 8%로 예상되며, 이는 역대 최고 수준과 일치한다고 전했다.

- 쉘은 글로벌 액화천연가스(LNG)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며, 2030년까지 연간 5억5000만톤의 성장 가능성이 있다는 에너지 시나리오를 발표한 바 있다.

■ 미국내 AI 인프라

- 엔비디아(NVDA)가 일론머스크의 AI 스타트업 기업인 xAI, 마이크로소프트(MSFT), 블랙록(BLK),투자펀드사 MGX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미국내 AI 인프라 확장에 나서기로 했다.

- 엔비디아와 xAI가 주축이 되어 해당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 이미 지난해 300억 달러 이상의 투자를 목표로 결성된 뒤 챗GPT같은 AI앱에 필요한 전력 공급을 위한 데이터센터와 에너지 시설 자금 지원을 위해 노력하기도 했다.

- 컴퓨팅 및 전력 수요 충당을 위해 투자자와 기업들로부터 최대 1000억 달러를 유치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현재까지의 투자금에 대해서는 공개되지 않았다.

■ AI 기반 스마트 플랫폼 기업 BGM 그룹(BGM)

- YX 매니지먼트는 스마트 모빌리티 기술을 보유한 AI 기반 기술 기업으로, BGM은 YX의 지분 100%를 인수하기로 했다. 인수 대가는 BGM 보통주 4750만주를 발행해 지급하는 방식이다. 이번 인수는 YX의 기업가치를 약 9500만달러로 평가하고 있다.

- BGM은 이번 인수를 통해 자사의 지능형 플랫폼 두샤오바오(DuXiaoBao)의 AI 중심 전략 업그레이드를 가속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여성 의류 업체 제이질(JILL)

- 4분기 매출은 1억4280만달러로 전년 동기 1억5030만달러 대비 감소했지만 팩트셋이 집계한 예상치 1억4230만달러를 소폭 상회했다.

■ 미국 최대 건설골재업체 벌칸머티리얼즈(VMC)

- JP모건은 벌칸머티리얼즈(VMC)에 대한 투자의견을 기존 중립에서 비중확대로 한 단계 상향 조정한 반면 목표주가는 290달러에서 285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 가격 인상과 마진 개선 등에 힘입어 매출이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연간 매출이 7%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 이번 조정은 벌칸머티리얼즈가 2025년 회계연도 상각전영업이익(EBITDA) 예상치를 상향 조정한 데 따른 것으로, 회사는 현재가 대비 20% 성장한 24억7700만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 생명공학 기업 리젠엑스바이오(RGNX)

- RGX-202는 뒤센 근이영양증(DMD)을 대상으로 한 차별화된 유전자 치료제로, 이번 데이터는 1~3세 환자군에서 새롭게 확보됐다. 특히 3세 환자의 경우 마이크로디스트로핀(microdystrophin) 발현율이 대조군 대비 122.3%로 측정됐다.

- 이번 결과가 기존 4세 이상 환자군에서 관찰된 긍정적인 안전성과 유효성 데이터를 더욱 강화한다고 설명했다.

- 올해 중 임상 환자 등록을 마무리하고 2026년 중반 생물의약품허가신청서(BLA)를 제출할 계획이다.

■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업체 리듬파머수티컬스(RYTM)

- 비만 치료제 ‘세트멜라노타이드’가 일본에서 희귀의약품 지위를 획득했다고 발표했다. 현재 해당 치료제는 전세계를 대상으로 3상임상을 진행 중이며 2분기 내 임상 데이터 발표가 예상된다.

- 세트멜라노타이드는 시상하부 손상으로 인한 후천성 비만 치료를 목표로 한다. 이 질환은 체중 증가 패턴이 지속적으로 가속화되는 특징을 가지며, 식욕 조절 이상 및 에너지 소비 감소와 같은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 무선 및 웹 기반 보안 시스템 기술을 제공하는 알람닷컴홀딩스(ALRM)

- 케빈 브래들리를 신임 CFO로 임명한다고 밝혔다. 브래들리는 기존 CFO였던 스티브 발렌수엘라의 후임으로, 재무 기획 및 분석, 회계, 세무, 투자자 관계 등을 총괄하게 된다. 그는 2009년 5월 입사 이후 다양한 직책을 거쳐 최근까지 부사장(VP)으로 재무 기획 및 분석을 담당해왔다.

■ 담보대출업체 이즈코프(EZPW)

- 멕시코 프레스타 디네로소유의 50개 이상의 전당포 인수를 철회하면서도 멕시코 시장 확장 의지를 밝혔다.

■ 레저용 차량(RV) 제조업체 소어인더스트리스(THO)

- 자회사 하트랜드 레크리에이션을 제이코 브랜드로 통합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사업 운영을 간소화하고 비용 절감을 목표로 하며, 향후 몇 개월 내에 단계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 이에 따라 하트랜드의 일부 프라이빗 라벨 브랜드는 소어인더스트리스의 또 다른 자회사 키스톤RV 산하 더치맨 매뉴팩처링으로 이관된다.

 

[시간외 특징주]

■ 넷플릭스(NFLX)

- 넷플릭스는 2018년 공상과학(SF) 시리즈 ‘화이트 호스(White Horse)’ 제작을 위해 5500만달러를 투자했으나, 해당 제작자 칼 에릭 린쉬가 이를 사적으로 유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미국 연방 검찰에 따르면 린쉬는 제작비를 고위험 투자에 사용하거나 초호화 소비에 탕진했고, 결국 단 한 편의 에피소드도 제작하지 않았다.

- 시간외거래에서 0.11% 추가 상승한 960.55달러를 기록했다.

■ 할인 소매업체 파이브빌로우(FIVE)

- 2025회계연도 1분기 매출을 9억500만~9억2500만달러로 전망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인 8억9710만달러를 상회하는 수준이다. 같은 기간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0.50~0.61달러로 예상돼 팩트셋이 집계한 예상치(0.48달러)를 웃돌았다.

- 2025회계연도 EPS를 4.10~4.72달러로 전망하며 팩트셋 예상치(5.04달러)를 하회했다.

- 시간외거래에서 9.66% 추가상승하며 82.89달러를 기록했다.

■ 항암 세포 치료제 개발사 카고테라퓨틱스(CRGO)

- 신약 개발 중단 및 전략적 옵션 검토 계획을 발표, 카고테라퓨틱스가 지난 1월 firi-cel 연구를 중단하고 직원 절반을 감축한다고 발표한 지 약 두 달 만에 나왔다. 당시 주가는 13.19달러에서 3.39달러로 급락한 바 있다.

- 시간외거래에서 0.72% 추가 상승한 4.18달러를 기록했다.

■ 바이오 제약기업 아케비아테라퓨틱스(AKBA)

- 이번 공모에서 보통주를 공개 매각할 계획이라고 밝혔지만 구체적인 발행 주식 수와 예상 조달 금액은 공개하지 않았다. 또한, 회사는 공모주 할인과 수수료를 제외한 공모가로 최대 15%의 추가 주식을 인수할 수 있는 30일 옵션을 인수단에 부여할 예정이다.

- 이번 공모는 리링크 파트너스와 파이퍼 샌들러가 공동 주관사로 참여한다.

- 시간외거래에서 20.44% 하락한 2.26달러를 기록했다.

■ 특수 유리 제조업체 코닝(GLW)

- 코닝은 1분기 실적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하고, 장기 매출 목표를 확대, 1분기 핵심 매출이 기존 목표였던 36억달러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주당순이익(EPS) 전망치는 기존 가이던스(0.48~0.52달러) 상단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했다.

- 코닝은 지난해 도입한 ‘스프링보드’ 전략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며, 이를통해 2026년까지 연간 매출을 기존 목표인 30억달러에서 40억달러 이상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 시간외거래에서 0.37% 추가 상승한 48.94달러를 기록했다.

■ 엔비디아(NVDA)

- 차세대 AI 반도체 ‘루빈’을 공개하며 AI 시장의 폭발적 성장 가능성을 강조했다. 투자자들의 우려가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가는 상승했다.

- 시간외 거래에서 0.77% 추가상승한 118.41달러를 기록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빅테크가 인공지능(AI) 전력 부족에 대한 해법, 원전 투자 part 2.

빅테크가 인공지능(AI) 전력 부족에 대한 해법, 원전 투자  https://view.asiae.co.kr/article/2024101609571395997 이전글  <- 클릭 빅테크(거대 기술 기업)가 인공지능(AI) 전력 부족에 대한 해법으로 원전 투자에 나서면서 원전 및 우라늄 관련주가 꾸준히 오름세를 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모건스탠리는 주요 미국 원전 관련 기업의 주가 목표치를 높였다. 미국 원자력 발전 1위 기업인 콘스텔레이션 에너지(CEG)와 복합 에너지 기업인 비스타에너지(VIST)의 목표 주가를 기존 233달러, 110달러에서 각각 313달러, 132달러로 높였다. ◇ 비스타에너지(VIST) ▶ 기업개요 - 비스타 에너지는 멕시코 미구엘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 석유 및 가스의 탐사 및 생산에 관여하는 석유 및 가스 회사이다 . - 멕시코 , 아르헨티나 , 브라질 , 콜롬비아에서 라틴 아메리카의 유전 및 가스전 식별 , 인수 및 개발에 중점을 둔다 . - 북아메리카 이외의 지역에서 개발중인 가장 큰 셰일 석유 및 가스 플레이 인 Vaca Muerta 가 포함된다 . ▶ 실적분석  ▷ 24년에 이어 25년에도 사상최대 매출, 당기순이익 및 EPS 달성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3Q 매출액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EPS를 보면 2분기 대비 순이익은 줄어들 것으로 예측되며, 4Q는 매출액과 순이익 및 EPS가 3Q대비 모두 증가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  ▷ 최근 3개월 내에 3명의 애널리스트의 투자의견은 매수이며, 평균 목표가는 $57.67로 현재가 대비 20.55% 상승 여력이 있습니다.   ▷ 9월 27일 UBS는 Vista Oil & Gas, S.A.B. de C.V. (NYSE:VIST) 주식에 대한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매수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또한 목표주가를 기존 $55.00에서 $60.00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회사의 생산 전망이 지속적으로 기대치를 상회하고 있기...

빅테크가 인공지능(AI) 전력 부족에 대한 해법, 원전 투자 part 1.

 ◆ 미국 원전 관련주 ◇ 콘스텔레이션 에너지 (CEG)  ▶ 기업개요 원자력, 수력, 풍력, 태양광 발전 시설을 통해 1,600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발전 용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 내 무탄소 에너지의 약 10%를 생산한다. 통합 비즈니스 운영을 통해 다양한 유형의 고객에게 전기, 천연가스 및 기타 에너지 관련 제품과 지속 가능한 솔루션을 판매한다. 여러 지역의 시장에서 배전 유틸리티, 지방 자치 단체, 협동조합, 상업, 산업, 공공 부문 및 주거용 고객을 포함한 다양한 산업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텍사스 베이시티에 위치한 2,645메가와트급 이중 원전인 South Texas Project(STP)의 공동 소유 지분을 44% 소유하고 있다.   ▶ 실적분석  ▷ 24년 연간실적은 사상최대 실적 달성이 예상되며, 25년에도 실적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24년 3Q는 전분기대비 증가할 것으로 보이나, 4분기 실적은 3분기 대비 하락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 ▷ 투자의견은 매수의견이며 , 목표주가는 최저 $200~$205.12, 최고 $313~$328 이며 , 평균 컨센서는 $269.83~$271.6 입니다 .  ▶ 차트분석  ▷ 추세는 상승추세가 이어지고 있으며, 현 지지는 $250 / 저항은 $288.75 입니다. 향후 실적이 좋아진다고 하더라도 주가의 위치는 많이 높은 위치에 있습니다. ◇ 엑셀론 코퍼레이션 (Exelon Corporation –EXC)  ▶ 기업개요 유틸리티 서비스 지주 회사로 ComEd, PECO, BGE, Pepco, DPL, ACE 의 6 개 부문을 통해 에너지 배전 및 송전 사업에 종사한다 . ComEd 는 전기 소매 판매의 구매 및 규제에 관여한다 . PECO 는 전기와 천연가스의 소매 판매 구매 및 규제 업무를 담당한다 . 비즈니스 서비스 자회사인 엑셀론 비즈니스 서비스 컴퍼니 (BSC) 를 통해 법률 , 인적 자원 , 재무 , IT, 공급 관리 서비스 등 다양...

25/01/17 미국주식 특징주

[특징주] ■ 애플(AAPL) - 애플은 4.04% 급락한 228.26달러를 기록했다. 이로써 시총도 3조4330억달러로 줄었다. 이는 중국에서 판매가 급격히 둔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때 애플은 중국에서 부동의 판매 1위였다. 그러나 중국 업체들이 약진하며 판매 순위가 3위까지 밀렸다. ■ SNS 기업 메타(META)와 스냅(SNAP)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미국 내 틱톡 금지 또는 강제 매각을 막기 위해 나설 가능성이 제기 ■ 테슬라(TSLA) - 3.36% 급락한 413.82달러로 장을 마감했다. 테슬라가 사이버트럭 신차 모델 재고차량에 대해 할인을 제공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같은 소식에 지난해부터 부각됐던 마진 축소 우려가 재차 부각되며 주가에 영향을 주는 모습이다. 니콜라도 1.63% 하락한 1.21달러를 기록했다. 이에 비해 리비안은 3.59% 급등한 14.44달러로 장을 마감했다. 루시드도 1.32% 상승한 3.08달러로 장을 마감했다. ■ 지프와 램 브랜드를 보유한 자동차 제조업체 스텔란티스(STLA) - 2024년 4분기 차량 인도량이 9% 감소했다고 발표했습니다. 회사는 미국의 과도한 재고를 줄이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 넷플릭스(NFLX) - 씨포트리서치는 다음주 넷플릭스(NFLX)의 실적 발표를 앞두고 넷플릭스의 매출 성장, 마진 확대, 잉여현금흐름 등에 힘입어 핵심 보유 종목으로 부각될 것이라며, 투자의견을 기존 중립에서 매수로 한 단계 상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또한 목표주가를 955달러로 설정하며 낙관적인 전망을 제기했다. ■ TSMC(TSM) - TSMC의 지난해 4분기 주당순이익(EPS)은 2.24달러, 매출액은 269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월가 전망치 각각 2.18달러와 263억 달러보다 모두 높은 수준이다. 개장 전 거래에서 TSMC 주가는 전일대비 4.36% 오른 215.82달러에서 움직이고 있다. ■ AMD(AMD) - 울프리서치는 주요 데이터센터 칩 판매가 부진하다면서 AMD의 2025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