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816.80포인트(1.91%) 급락한 4만1860.44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95.85포인트(1.61%) 밀린 5844.61, 나스닥종합지수는 270.07포인트(1.41%) 밀린 1만8872.64에 장을 마쳤다.
오후 1시 진행된 미국 20년물 국채 입찰의 결과였다.
미국 재무부가 160억달러 규모로 진행한 20년물 입찰에서 발행금리는 5.047%로 결정됐다. 지난달 입찰 때의 4.81%와 대배 23.7bp 급등한 수치이자 2023년 10월 이후 최고치다. 발행 전 거래(When-Issued trading) 금리도 1.2bp 웃돌았다.
20년물 입찰은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미국 신용등급을 강등한 뒤로 처음 치러지는 쿠폰금리 국채 입찰이었다. 때문에 신용 강등 여파가 나타날 것인지 월가가 주목했었다.
20년물 입찰 결과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밀어붙이는 감세 법안과 맞물려 더 큰 우려를 낳고 있다. 30년물 국채금리도 공화당 감세안에 대한 우려로 다시 5% 선 위로 올라섰다.
▷ UBS는 다양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얽힌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이를 소화해내는 과정속 변동성을 겪을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추가적인 무역협상 이슈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한한 세금감면 정책 추진 과정, 미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금리인하 시기 지연 등이 대표적으로 증시에 불확실성을 야기하는 요인들이라고 꼽았다.
[특징주]
양자컴 우수수…D-웨이브 7% 급락하자 리게티도 8%↓(상보)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8266076
“美 전기차株도 안 굴러가네” 테슬라 –2.68%·루시드-6.42%
https://n.news.naver.com/article/016/0002474559
비트코인, 4개월 만에 사상 '최고가 경신'… 11만달러 뚫을까
https://n.news.naver.com/article/417/0001078449
■ 나이키(NKE)
- 우선순위 조정의 일환으로 기술 부문 일부 직원을 감원할 예정이다. 이번 감원과 관련해 구체적으로 영향을 받는 인원 수나 전체 기술 조직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일부 업무는 외부 벤더에 위탁될 예정이다.
- 나이키가 오는 6월부터 일부제품 가격을 2달러~10달러 인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관세부담 등으로 인한 원가 상승에 따른 결정으로 업계는 해석하고 있다. 다만 나이키는 아동용품과 조던 브랜드 제품에 대한 가격인상은 하지 않을 방침으로 알려졌다.
■ 승차공유 플랫폼 운영 기업 우버(UBER)
- 머스크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테슬라가 자율주행 기반 승차 호출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려는 상황에서 우버를 인수해 사업을 단숨에 확장하는 건 어떠냐는 질문에 “그럴 필요 없다”고 단호하게 일축했다. 머스크는 “테슬라가 독자적인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으며 수백만 대의 자율주행 차량을 보유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신용 분석 기업 페어아이작(FICO)
- 빌 펄트 미국 연방주택금융청(FHFA) 국장이 페어아이작의 수수료 인상 결정에 대해 공개적으로 실망감을 표시한 데 따른 것으로, 펄트 국장은 “해당 조치가 미국 소비자들에게 불필요한 부담을 안긴다”고 비판했다.
- 페어아이작은 지난해 11월 모기지 대출 신용점수 제공 수수료를 건당 3.50달러에서 4.95달러로 40% 넘게 인상했다. 이에 대해 조시 홀리 미주리주 공화당 상원의원은 “사실상 경쟁이 없는 신용평가 시장에서의 반경쟁적 조치”라며 지난달 미 법무부에 반독점 조사를 재요청한 바 있다.
■ 서버 및 스토리지 시스템 제공 기업 슈퍼마이크로컴퓨터(SMCI)
- CEO는 앞서 월스트리트저널과의 인터뷰에서 실리콘밸리의 높은 생산비용을 고려해 미시시피, 텍사스 등으로의 생산 확장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현재 슈퍼마이크로는 캘리포니아 산호세에 본사를 두고 인근에 제조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난 2월에는 베이 에어리어에 제3 캠퍼스 건립 계획을 발표했다.
- 레이몬드제임스는 슈퍼마이크로가 AI 인프라 시장에서 여전히 선도적인 위치에 있지만 잇따른 회계 문제와 신뢰도 훼손이 주가 밸류에이션에 부담을 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 코어위브(CRWV)
- 코어위브는 AI 데이터센터의 인프라를 임대해주는 회사다. 특히나 코어위브는 엔비디아 칩 기반의 인공지능 데이터 센터를 운영해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 회사다.
- 코어위브는 이번에 발행하는 채권의 금리는 9.25%, 만기일은 2030년 6월로 책정됐따고 밝혔다. 이는 초기에 발표한 규모 대비 5억달러 늘어난 규모다. 이번 채권 발행은 수요가 공급보다 5배 많아 초과 청약됐다. 코어위브는 이번에 조달한 자금을 기존 부채 상환에 사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미국 고급 주택 건설업체 톨브라더스(TOL)
- 2분기 조정 EPS 3.50달러를 기록해 전년동기 대비 3.6% 증가했으며 시장 예상치인 2.86달러를 22.4% 상회했다. 매출은 27억4000만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3.5% 감소했지만 시장 예상치인 25억달러를 9.5% 웃돌았다.
- 톨브라더스는 2025회계연도 연간 가이던스를 유지하며주택 인도 수량을 1만12001만1600채, 평균 판매 가격을 94만500096만5000달러로 제시했다.
■ 프리미엄 아우터 브랜드 캐나다구스홀딩스(GOOS)
- 4분기 조정 주당순이익(EPS) 0.33달러, 매출 3억8,460만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예상치였던 EPS 0.24달러, 매출 3억5,880만달러를 모두 상회한 수치다. 전년동기 대비 EPS는 73% 증가했고 매출은 7.4% 증가했다.
- 캐나다구스는 2026회계연도 실적 전망을 제시하지 않았다. 예측 불가능한 글로벌 무역 환경으로 인한 거시경제 불확실성과 소비자 지출 패턴의 변화를 이유로 들었다.
■ 유아용 의류업체 카터스(CRI)
- 분기 배당을 70% 가까이 삭감한 여파로 장중한때 31.50달러까지 밀리며 2011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 분기 배당을 주당 0.80달러에서 0.25달러로 축소한다고 발표했다. 배당 삭감 배경으로는 최근 실적부진과 트럼프 전 행정부의 대중국 추가관세 시행 가능성에 따른 비용 부담 우려가 꼽혔다. 앞서 1분기 실적발표 당시 카터스는 전체연도 가이던스를 철회한 바 있다.
- 배당축소와 더불어 매출 둔화, 관세 리스크, 경영진 교체 등 불확실성이 맞물리며 투자심리가 악화된 것으로 풀이된다.
■ S&P500기업 가운데 10종목 가량이 52주 신고가를 기록
- 넷플릭스(NFLX)는 2002년 5월 기업공개(IPO)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 에너지음료 제조사인 몬스터베버리지(MNST)는 이날 1992년 나스닥시장에 상장한 이래로 처음 63.49달러를 터치했다.
- 신생에너지 관련 기술 및 서비스 기업인 엑스팬드 에너지(XPED)는 2021년 2월이래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 전기충격기 및 경찰용 바디캠 제조사로 약손 엔터프라이즈(AXON)는 ‘테이저건을 만다는 회사다. 지난 2001년 5월 18일 나스닥시장에 상장한 이후 이날 748.80달러까지 오르며 사상 최고치를 새로썼다.
- GE버노바(GEV)는 재생에너지 및 전력설비 기업으로 2024년 4월 GE에서 분사한 이후 이날 463달러에 처음 올라섰다.
- 레이시온 테크놀로지스(RTX)는 방산 및 항공우주 시스템 제조사로 이날 138.82달러까지 오르며 신고가를 경신했으며 이후 오후장 1%대 하락으로 거래되고 있다.
- 트레인 테크놀로지스(TT)는 냉난방 공조(HVAC) 시스템 전문기업으로 433.60달러에서 신고가를 경신했으며 이는 최근 가드너 덴버와의 합병 전 잉가솔랜드 당시를 포함한 신고가다,
- 코르테바(CTVA)는 농업용 씨앗과 농약을 개발해 판매하는 기업으로 2019년 5월24일 다우듀폰에서 분사된 이후 처음으로 69.42달러에서 신고가에 올랐다.
■ 기업용(상업·정부) 데이터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 팔란티어(PLTR)
- 팔란티어는 최근 수년간 인공지능(AI) 기술에 대한 연방정부 및 민간 부문 수요 급증이 주가를 끌어올린 만큼 펀더멘털 측면에서 과열 우려가 제기돼왔다.
- 팔란티어의 높은 밸류에이션과 변동성을 지적한 바 있다. 12개월 선행 주당순이익 기준 주가수익비율(PER)이 198배에 달해 밸류에이션 부담이 크다는 분석이다.
- 그럼에도 팔란티어는 미국 국방부 및 군 관련 기관에 강력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으며 AI 기반 데이터 분석 플랫폼의 선두주자로 시장의 기대를 받고 있다.
[시간외 특징주]
■ 화상회의 솔루션 업체 줌커뮤니케이션스(ZM)
- 1분기 조정 주당순이익(EPS)이 1.43달러로 집계돼 시장예상치였던 1.31달러를 웃돌았다.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증가한 11억7000만달러로 시장 예상치와 일치했다.
- 2026회계연도 연간 매출 가이던스를 48억~48억1000만달러로 제시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인 47억9000만달러를 웃도는 수준이다. 시장에서는 이번 실적과 가이던스를 통해 줌이 안정적인 수익성과 성장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 주가는 전일대비 1.00% 하락한 82.27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후 시간외거래에서 0.70% 오른 82.65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관리 플랫폼 업체 스노우플레이크(SNOW)
- 1분기 조정 주당순이익(EPS) 0.24달러, 매출 10억4000만달러를 기록했다. EPS는 시장예상치였던 0.21달러를 웃돌았고 매출도 예상치인 10억1000만달러를 상회하며 처음으로 분기 매출 10억달러를 돌파했다.
- 2분기 제품매출 가이던스를 10억3500만~10억4000만달러로 제시하며 시장 전망치(10억2200만달러)를 상회했다.
- 연간 제품매출은 43억2500만달러로 제시하며 전년대비 25% 증가를 전망했다.
- 주가는 전일대비 2.06% 하락한 179.12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후 실적이 공개됨에 따라 시간외거래에서 6.35% 오른 190.50달러를 기록 중이다.
■ 의류 브랜드 어반아웃피터스(URBN)
- 1분기 조정 EPS 1.16달러를 기록해 시장예상치였던 0.83달러를 41%가량 상회했다. 매출은 13억3000만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6.4% 증가했으며 시장 기대치인 12억9000만달러를 웃돌았다.
- 주가는 전일대비 2.84% 하락한 59.6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후 실적발표에 따라 시간외거래에서는 9.08% 오른 65.01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 통신 서비스업체 루멘테크놀로지스(LUMN)
- 루멘은 이날 AT&T가 자사의 ‘매스마켓 광통신 사업부’ 일부를 57억5000만달러에 인수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이번거래에는 약 100만명의 광통신 가입자와 11개주에 걸친 400만개 이상의 서비스 가능 지역이 포함되며 이들은 모두 AT&T 파이버 고객으로 전환된다. 거래는 규제 승인 등을 거쳐 2026년 상반기 내 마무리될 예정이다.
- AT&T는 이번 인수를 통해 광통신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미국 최대 광인터넷 사업자로서 입지를 강화하겠다는 전략이다.
- 시장에서는 이번 매각으로 루멘의 유동성 개선과 사업 구조 재편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고있다.
- 정규장에서 전일대비 4.51% 하락한 3.81달러에 거래를 마친 루멘테크놀로지스는 시간외거래에서 12.60% 오른 4.29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실적 프리뷰]
■ 아날로그디바이스(ADI)
- 개장 전 실적이 공개될 아날로그디바이스의 경우 올 2월부터 4월까지의 분기 실적이 주당순이익(EPS)기준 1.69달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같은기간 매출액은 25억1000만 달러로 각각 전분기 0.78달러와 24억2000만 달러를 웃돌 것으로 시장은 기대하고 있다.
■ 랄프로렌(RL)
- 전분기 EPS와 매출액이 각각 2.04달러와 16억4000만 달러로 추정치가 제시되었다.
■ 회원제 창고형 할민매장 체인업체인 BJs홀세일클럽(BJ)
- 개장전에 실적이 발표될 예정이다. 실적 추정치는 EPS 0.92달러, 매출액은 51억9000만 달러이다.
■ 오프라인 소매업체 벌링턴스토어(BURL)
- 장 중 차례로 실적을 내놓을 계획이다. 각각 1.43달러와 2.52달러 수준이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