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의 3대 지수가 모두 하락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 여파로 미국의 고용 사정이 크게 악화하면서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42.40포인트(-1.23%) 내린 43,588.58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101.38포인트(-1.60%) 내린 6,238.01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472.32포인트(-2.24%) 내린 20,650.13에 각각 마감했다.
이날 미 노동부가 발표한 고용보고서에 따르면 7월 미국의 비농업 일자리는 전월 대비 7만3000명 증가해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10만명)을 밑돌았다. 5∼6월 일자리 증가 폭은 종전 발표 대비 총 25만8천명 하향 조정됐다. 실업률은 4.1%에서 4.2%로 상승했다.
미국의 고용시장이 양호한 상황을 지속하고 있었다는 종전 고용 보고서 발표와 달리 최근 몇 달 새 미국의 고용 증가세가 눈에 띄게 약해진 것으로 확인되면서 관세 충격에 따른 경기 둔화가 이미 나타난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았다.
미국의 고용 사정이 크게 약화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미 국채 수익률과 달러화 가치는 급락하고, 금 가격은 상승했다. 국제유가는 산유국의 공급 확대 기대에 하락했다. 전자거래플랫폼 트레이드웹에 따르면 이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3.68%로 전장 대비 27bp(1bp=0.01%포인트) 급락했다.
같은 시간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4.21%로 전장 대비 15bp 하락했다. 미 중앙은행(Fed) 내 매파 성향(통화긴축 선호) 인사로 꼽히는 아드리아나 쿠글러 이사가 잔여 임기를 6개월 앞두고 오는 8일 이사직에서 물러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채권 수익률 하락을 더욱 부채질했다. 고용 악화에 쿠글러 이사 사임 소식까지 겹치면서 시장은 Fed의 9월 금리 인하를 기정사실로 하는 분위기다.
■ 미국 정보기술(IT) 선도기업 애플(AAPL) - 7월 31일 FY25 3분기(4~6월) 실적 발표 예정
▲ 모간스탠리는 iPhone 매출 호조 등 우수한 실적과 가이던스를 반영하여 목표주가를 235달러에서 24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 바클레이즈는 애플의 우수한 실적발표에 대해 언급하면서도, 성장 전망을 낙관하기는 어렵다고 평가했다. 투자의견 비중축소를 유지했지만, 목표주가는 173달러에서 18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 애플의 FY25 3분기 실적은 컨센서스를 상회했다. iPhone과 Mac 판매량이 우수했고, 서비스 부문 성장세도 이어졌다. 특히 관세 리스크로 인해 수요가 앞당겨져 발생한 점, 중국에서의 판매 추이가 개선된 점이 실적을 견인했다.
- 하지만 중국 시장은 아직 낙관할 정도가 아니다. 또한 애플은 인공지능 전략의 부재와 ▲ 알파벳(GOOGL) 반독점 이슈에 따른 매출 상실 위험이 남아있다.
▲ UBS는 이번 실적발표에서 애플은 iPhone 판매량 증가세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관세 리스크가 아직 해소되지 않은 가운데, 애플의 매출 전망이 안정적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투자의견 중립을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를 210달러에서 22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 글로벌 전자상거래 및 클라우드 업체 아마존닷컴(AMZN)
- 아마존의 2분기 주당순이익(EPS)은 1.68달러로 예상치 1.33달러를 대폭 상회했다. 매출은 1680억달러로 전년대비 13% 증가하며 예상치 1620억달러를 웃돌았다.
- 시장은 관세로 인해 아마존의 수익성이 하반기부터 압박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또 다른 부담 요인은 클라우드 사업 부문인 아마존웹서비스(AWS)의 수익성 저하다.
- 아마존은 상반기에만 560억달러를 자본지출에 투입했으며 하반기에는 600억달러를 추가 집행할 계획이다. 이는 시장 예상치를 크게 웃도는 수준으로, 단기 수익성에는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 미국 소셜미디어 플랫폼 레딧(RDDT)
- 레딧의 2분기 매출은 전년대비 78% 증가한 5억달러로 예상치 4억2600만달러를 대폭 상회했다. 광고 매출은 84% 급증한 4억6500만달러에 달했다. 주당순이익(EPS)은 45센트로 전년 동기 손실에서 흑자 전환했으며 예상치 19센트를 두 배 넘게 웃돌았다.
- 3분기 전망도 긍정적이다. 레딧은 3분기 매출 가이던스를 5억3500만~5억4500만달러 범위로 제시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 4억7300만달러를 크게 상회하는 수준이다. 조정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은 1억8500만~1억9500만달러 범위로 예상하고 있다.
■ 시스템온칩 반도체 업체 마벨테크놀로지그룹(MRVL)
▲ 모건스탠리는 마벨 목표주가를 80달러로 높이며 긍정적인 평가를 내놨지만 오히려 AI칩 납품 일정 연기로 인한 매출 지연 가능성이 부각됐다.
▲ 대만 푸본증권은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 중인 AI칩 ‘Maia300’의 생산을 기존 3나노미터(nm)에서 2nm 공정으로 전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해당 칩을 생산할 마벨은 수익성이 큰 수주를 확보했지만 양산 일정이 2026년 1분기에서 4분기로 밀릴 가능성이 제기됐다.
- 푸본은 이로 인해 마벨이 2026년에는 24억달러, 2027년에는 최대 120억달러의 추가 매출을 기대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 전력반도체 솔루션업체 모놀리식파워시스템즈(MPWR)
- 모놀리식파워시스템즈는 2분기 주당순이익(EPS) 4.21달러, 매출 6억6460만달러를 기록했다. EPS는 전년동기 대비 31% 증가했고, 매출도 31% 늘었다. 시장예상치였던 EPS 4.13달러, 매출 6억5210만달러를 모두 상회하며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 회사는 3분기 매출 가이던스로 7억1000만~7억3000만달러를 제시해, 월가 기대치인 6억8100만달러를 크게 웃돌았다.
■ 테슬라(TSLA)
- 유럽 판매 부진은 7개월 연속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국 자동차 등록 자료를 인용해 7월 테슬라의 판매량이 프랑스에서 27% 감소한 1,307대, 네덜란드에서는 62% 급감한 443대, 덴마크는 52% 줄어든 336대, 스웨덴은 무려 86% 급감한 163대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 미국 금융 서비스 기업 LPL 파이낸셜 홀딩스(LPLA)
- LPL 파이낸셜의 2분기 주당순이익(EPS)은 3.40달러로 전년대비 5% 증가했지만 예상치 3.52달러에는 미치지 못했다. 조정 EPS는 4.51달러로 예상치 4.23달러를 웃돌았다. 매출은 38억달러로 예상치에 부합했다.
- 비용이 수익보다 빠르게 증가하면서 수익성에 부담을 준 것이 주가 하락의 주된 원인으로 분석됐다. LPL 파이낸셜의 2분기 비용은 마케팅, 프로모션 증가 및 차입 비용 상승 등으로 인해 전년대비 33% 급증한 35억달러를 기록했다.
■ 글로벌 자산운용사 프랭클린리소시스(BEN)
- 프랭클린리소시스는 2분기 주당순이익(EPS) 0.49달러, 매출 20억6000만달러를 기록했다. EPS는 전년동기보다 18% 줄었고 매출은 3% 감소했다.
- 그러나 시장예상치였던 EPS 0.48달러, 매출 19억9000만달러를 모두 소폭 상회하며 호실적을 기록했다.
▲ 잭스는 프랭클린리소시스에 대한 투자의견을 ‘보유’로 유지했다.
■ 비트코인 최대 보유 기업 마이크로스트래티지(MSTR)
- 마이크로스트래티지의 2분기 주당순이익(EPS)은 32.60달러로 전년 동기 0.57달러 손실에서 흑자로 돌아섰다. 월가에서는 주당 0.10달러 손실을 예상했지만 이를 훨씬 웃도는 결과를 기록했다. 새 회계 기준이 적용되며 비트코인 평가이익이 전면 반영돼 일시적으로 순이익 규모가 크게 확대됐다.
-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연간 가이던스로 영업이익 340억달러, 순이익 240억달러, EPS 80달러를 제시했다. 이는 올해 말까지 비트코인 가격이 15만달러에 이를 것이라는 내부 전망을 반영한 것이다.
■ 코인베이스(COIN)
- 전날 회사는 15억달러의 매출을 기록해, 전망치보다 낮았다. 특히나 그 가운데 거래 수익은 7억 6430만달러로, 전망치 8억 1400만달러보다 낮았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총 매출은 26% 감소했으며, 거래 수익은 39% 줄었다.
- 순이익은 15억달러로, 전망치 3억 1900만달러를 대폭 웃돌았다. 이는 전략적 투자에서 발생한 15억달러의 일회성 이익 때문으로 분석된다. 개인투자자 거래량이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 운영 비용이 크게 늘었다. 영업 비용은 15억달러를 기록해, 지난해 대비 증가세를 보였다. 이는 지난 5월 데이터 유출 사고와 관련된 비용 증가 때문으로 분석된다.
■ 엑슨 모빌(XOM)
- 엑슨 모빌은 2분기에 71억달러의 순이익을 기록해, 지난해 대비 23% 감소세를 보였다. 매출은 815억달러로, 전망치 807억 7000천만달러를 웃돌았다. 주당순이익(EPS)은 1.64달러를 기록해, 예상치 1.54달러를 웃돌았지만 지난해에 기록했던 2.14달러 대비해서는 역성장했다.
- 일일 생산량은 460만배럴을 기록했다. 이는 엑슨과 모빌의 합병 이후 25년 만에 최고치이기도 하다.
- 회사는 글로벌 석유 수요 둔화와 유가 하락 여건에서도 생산 효율성과 자본 배분 전략을 통해 안정적인 실적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지난해 600억 달러 규모의 파이어니어 내추럴 리소시스(PXD)를 인수했던 엑슨모빌는 또 다른 인수 후보를 찾는다. 구체적인 인수 대상 기업이나 자산종류를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잠재적인 인수 거래는 “각 회사가 독자적으로 달성하는 것보다 더 큰 가치를 주주들에게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 셰브론(CVX)
- 회사는 1.77달러의 조정 주당순이익(EPS)을 기록해, 팩트셋 전망치 1.73달러를 웃돌았다. 매출은 448억 2000만달러를 기록해, 전망치 438억 7000만달러를 웃돌았다.
- 2분기에 2억 1500만달러의 순손실을 기록했는데, 이는 최근 인수한 헤스(Hess)의 공정가치 측정 손실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 생산 부문 순이익은 27억 3000만달러를 기록해, 지난해에 기록했던 44억 7000만달러보다 큰 폭으로 감소했다. 유가 하락에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 회사의 최고경영자(CEO)인 마이크 월스는 플미안(Permian) 분지에서의 일일 생산량이 100만배럴로 증가했을 뿐 아니라, 미국과 전 세계생산량 모두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 mRNA 기반의 백신 및 치료제 개발 기업 모더나(MRNA)
- 모더나는 2분기 주당순손실 2.13달러, 매출 1억4200만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였던 주당순손실 2.96달러, 매출 1억1300만달러보다 양호한 수치다.
- 모더나는 연간 매출 가이던스의 상단을 기존 25억달러에서 22억달러로 하향 조정해 15억~22억달러 범위로 축소했다. 이는 백신 수요 감소가 회사의 매출 구조에 계속해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 모더나는 지난달 30일 전체 인력의 약 10%를 감원하겠다고 발표했다. 지난 5월에도 모더나는 2027년까지 연간 15억달러의 운영비용을 절감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는 비용 절감과 조직의 적정화를 통해 지속적인 매출 감소에 대응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 스테판 방셀 모더나 CEO는 2028년까지 손실 구조를 탈피하고 추가 자금 조달 없이 버틸 수 있을 것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지만 시장에서는 여전히 회의적인 시선이 많다.
■ 미국 바이오제약사 리제네론 파마슈티컬스(REGN)
- 리제네론의 2분기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12.89달러로 예상치 8.43달러를 대폭 상회했다. 매출은 전년대비 4% 증가한 36억8000만달러로 예상치 32억9000만달러를 넘어섰다.
- 주력 안과 치료제인 아일리아의 미국 내 매출은 경쟁 심화, 가격 하락, 환자의 제품 전환 등의 이유로 전년대비 25% 감소했지만 염증성 질환 치료제 듀피젠트의 글로벌 판매 호조가 이를 상쇄했다, 파트너사인 사노피(SNY)가 판매한 듀피젠트 협업 매출은 전년대비 22% 증가한 14억4000만달러로 예상치 13억달러를 웃돌았다.
■ 의료기기 제조업체 스트라이커(SYK)
- 스트라이커는 2분기 중 마코 로봇 수술 건수가 큰 폭으로 증가하며 견조한 임플란트 수요를 이어갔다. 엔도스코피 및 수술기구 부문도 외래 및 입원 진료 수요 확대에 힘입어 성장을 지속했다.
- 하지만 중국 내 규제에 따른 시술량 제한으로 척추 및 외상 분야 성장이 다소 제한된 것으로 전해졌다.
- 공급망 개선과 운송비 하락, 가격 정책 강화, 시술량 증가에 따른 운영 효율성 개선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분기 중 수익성은 개선됐다.
- 미국과 유럽, 일본 등 주요 시장 회복세가 이어진 가운데 중국을 제외한 신흥국에서도 양호한 실적을 기록했다.
■ 생활용품 제조업체 킴벌리클라크(KMB)
- 킴벌리클라크는 2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연간 주당순이익(EPS)이 한 자릿수 초중반대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인 2.6% 감소 전망을 뒤집는 긍정적인 수치다. 한편 실적은 엇갈렸다. EPS는 1.92달러로 시장예상치를 웃돌았지만 매출은 사업부 매각 등의 영향으로 기대치를 밑돌았다. 다만 유기적 매출이 3.9% 증가하면서 최근 5년간 가장 높은 판매량 증가세를 보인 점이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기타 뉴스]
■ 디자인 소프트웨어 기업 피그마(FIG)
- 피그마는 전날 주당 33달러의 공모가로 상장해 85달러에 첫 거래를 시작했으며 주가는 장중 한때 124.63달러까지 올랐다. 결국 115.50달러로 마감하며 첫날에만 250% 급등했다. 이번 IPO를 통해 피그마는 약 12억2000만달러를 조달했고 시가총액은 하루 만에 약 676억달러까지 치솟았다.
- 시장 전문가들은 이번 피그마의 성공이 침체됐던 IPO 시장의 분위기를 반전시키고 그래픽 디자인 소프트웨어 제조업체 캔바, 데이터 분석 기업 데이터브릭스, AI 고객 서비스 제공업체 제네시스 클라우드 서비스 등 주요 테크 유니콘들의 상장 러시를 촉진할 것으로 보고 있다.
■ 웨스턴 패션 및 카우보이 부츠 전문업체인 부트 반 홀딩스(BOOT)
- 부트 반 홀딩스의 매출은 5억 401만달러를 기록해, 지난해 대비 19.1% 증가했다. 시장 전망치 4억 9572만달러를 웃도는 숫자다. 주당순이익(EPS)은 1.74달러를 기록해, 지난해 대비 1.2달러 증가했으며, 컨센서스인 1.55달러를 상회했다.
- 부트 반 홀딩스는 지속적인 매장 확장과 소비자 수요 증가에 힘입어 견고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 엔지니어링 및 건설 전문기업 플루오르(FLR)
- 회사는 2분기에 조정 주당순이익(EPS) 43센트를 기록해, 팩트셋 전망치 55센트를 밑돌았다. 매출은 39억 8000만달러로, 전망치 45억 1000만달러를 크게 밑돌았다.
- 회사는 3개의 인프라 프로젝트에서 하청업체의 설계 오류, 일정 지연과 비용상승, 그리고 일부 고객사들의 자본 지출 계획 지연 등으로 실적이 타격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 이에 따라 플루오르는 2025년 전체 실적 가이던스를 하향했다. 연간 EPS 전망치를 1.95~2.15달러로 봤는데, 이는 이전에 제시했던 2.25~2.75보다 훨씬 낮은 수준이다.
- 회사는 거시경제 불확실성으로 고객이 지출에 ‘주저(hesitation)’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이스트만 케미컬(EMN)
- 회사는 2분기에 조정 주당순이익(EPS)이 1.6달러를 기록해, 전망치 1.73달러를 밑돌았다고 밝혔다. 매출은 22억 9000만달러를 기록해, 전망치 23억달러에 미치지 못했다.
- 하반기에도 관세와 계절적 요인으로 판매량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연간 영업현금흐름 전망을 기존 12억달러에서 10억달러까지 하향했다.
- 3분기 조정 EPS 전망치는 1.25달러를 제시해, 팩트셋 기준치 1.91달러를 대폭 하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실적 발표 이후 미즈호증권은 이스트만 케미컬의 목표주가를 기존 92달러에서 80달러까지 낮췄다. 이스트만은 글로벌 관세정책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이 특징이다.
■ 산업용 공기압축기 제조업체 잉가솔랜드(IR)
- 잉가솔랜드는 2분기 주당순이익(EPS) 0.80달러, 매출 18억9000만달러를 기록했다. EPS는 시장예상치와 일치했고 매출은 18억5000만달러를 소폭 웃돌았다. 그러나 EPS는 전년동기 대비 3.6% 감소하며 수익성 둔화가 드러났다. 매출은 전년대비 4.6% 증가했지만 유기적 매출은 오히려 3.9% 줄었다.
- 회사 측은 인수 효과와 환율 영향으로 총 매출이 늘었지만 기존 사업의 성장세가 약화됐다고 설명했다.
- 잉가솔랜드는 연간 매출 성장률 가이던스를 기존 35%에서 46%로 상향했지만 유기적 성장은 제자리걸음을 예고했다.
■ 최대 주택담보대출 전문업체 로켓컴퍼니스(RKT)
- 로켓컴퍼니스는 2분기 조정 주당순이익(EPS) 0.04달러, 조정 매출 13억4000만달러를 기록했다. 두 지표 모두 시장예상치를 상회했다. 전년동기 대비 EPS는 흑자 전환했고 매출은 18% 증가했다. 같은 기간 대출 성사액은 291억달러로 1년 전보다 18% 늘며 실적 개선을 뒷받침했다.
- 회사는 3분기 조정 매출 가이던스를 16억~17억5000만달러로 제시하며 기대감을 키웠다. 최근 노동지표 약화로 연준의 금리인하 기대가 커진 점도 로켓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 산업용 자재 유통업체 WW그레인저(GWW)
- WW그레인저는 2분기 조정 주당순이익(EPS) 9.97달러, 매출 45억5000만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EPS는 시장예상치 10.06달러를 하회했으나 매출은 예상치 45억3000만달러를 소폭 웃돌았다. 전년동기 대비로는 EPS가 9.76달러에서 소폭 증가했고 매출은 4.31% 늘었다.
- 회사는 2025년 연간 EPS 전망을 기존 39~41.50달러에서 38.50~40.25달러로 하향했다. 매출 전망은 기존 179억~183억달러에서 179억~182억달러로 다소 낮췄다.
[IB 투자의견]
▲ 엔비디아(NVDA): 번스타인은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시장으로의 자금유입이 막대한 규모로 이어지고 있으며, 여전히 초기 단계로 보이기 때문에 엔비디아의 성장기회가 매우 크다고 강조했다. 투자의견을 outperform으로 유지했다.
▲ 코인베이스(COIN): 번스타인은 이더리움, 솔라나 등 주목받는 가상화폐들이 늘어나고, 스테이블코인 활용과 자산 토큰화가 확대되면서 코인베이스 플랫폼 사용량이 더욱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Outperform 의견을 유지했다.
▲ 로쿠(ROKU): 웰스파고는 플랫폼 성장세가 재가속되고 있으며, ‘25년에 걸쳐 예상보다 우수한 성장세가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투자의견 비중확대를 유지했다.
▲ 에이비스 버짓(CAR): 골드만삭스는 동종기업 대비 주가 하락리스크가 커졌다고 평가하면서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매도로 하향 조정했다. 다만 목표주가는 87달러에서 105달러로 상향했다.
▲ 레딧(RDDT): 모간스탠리는 광고 수요 증가, 신규 광고 포맷 도입 등을 통해 성장세가 가속되고 있다고 언급했으며, 사용자 증가세가 안정되고 있다는 점에도 주목했다. 투자의견을 비중확대로 유지했고, 목표주가를 170달러에서 23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