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현지시간) 뉴욕증시의 3대 지수가 모두 상승 마감했다. 애플이 지난 6일 미국에 1000억달러(약 140조원) 규모의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한 뒤 강세 흐름을 보이며 나스닥은 물론 3대 지수를 모두 끌어올리는 데 기여하면서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06.97포인트(0.47%) 오른 44,175.61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49.45포인트(0.78%) 오른 6,389.45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207.32포인트(0.98%) 오른 21,450.02에 각각 장을 마쳤다. 나스닥 종합지수는 사상 최고치 기록을 경신했다.
상호관세가 한국시간 7일 13시1분 본격 시행된 뒤 전 세계 경제에 미칠 파장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관세에 대한 예외 적용 기대감에 기술주를 중심으로 뉴욕증시가 호조를 이어가는 분위기다.
6일 트럼프 대통령은 수입 반도체에 100% 관세를 부과하되 미국 내에서 제조하는 기업에는 예외를 둘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또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새 이사에 '트럼프 충성파'인 스티븐 마이런 백악관 국가경제자문위원장을 지명한 것도 연준의 조기 금리 인하 기대감을 높이며 투자심리를 긍정적으로 돌리는 데 기여했다.
■ 핀터레스트(PINS)
- 회사는 조정 주당순이익(EPS)이 33센트를 기록해, 예상치 35센트에 못미쳤다고 밝혔다. 매출은 9억9800만달러를 기록해, 전망치 9억7500만달러를 상회했다. 이는 지난해 대비 17% 성장한 수치이기도 하다.
- 월간활성사용자는 5억7800만명을 기록해, 예상치 5억7450만명을 웃돌았다.
- 3분기 매출 전망은 10억3300만~10억5300만달러로 제시해, 전망치 10억25000만달러를 웃돌았다.
■ 테이크-투 인터랙티브 소프트웨어(TTWO)
-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0.61달러를 기록해, 잭스(Zacks) 예상치인 0.27달러를 큰 폭으로 상회했다. 이는 약 125.93% 상회한 어닝 서프라이즈다.
- 매출은 14억2000만달러를 기록해, 예상치 12억8000만달러를 웃돌았다. 지난해에 기록했던 12억 2000만달러보다도 성장한 수치다.
- 회사는 최근 4개 분기 가운데 3분기 실적이 모두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매출을 발표한 바 있다.
■ 광고기술 전문기업 트레이드 데스크(TTD)
- 트레이드 데스크는 올 2분기 주당순이익(EPS)0.41달러, 매출액 6억9400만 달러를 기록해 월가 추정치 각각 0.40달러와 6억8550만 달러를 웃돌았다.
- 3분기의 경우 매출 전망치가 7억1700만 달러에 그칠 것으로 회사측은 예상하며 시장 기대치 7억1620만 달러를 겨우 맞추는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보았다.
▲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는 이번 가이던스는 실질적인 성장 둔화를 시사한다며 메타(META)나 알파벳(GOOGL) 등 주요 플랫폼들이 강한 광고 성장세를 보인 것과 대조적이라고 했다.
- 이를 근거로 BofA는 트레이드데스크에 대한 투자의견을 시장수익률 하회로 두 단계나 내리고 목표주가도 130달러에서 55달러로 크게 낮췄다.
■ 타이완 반도체 매뉴팩처링(TSM)
- 타이완 반도체 매뉴팩처링은 7월 매출이 3232억대만달러(약 108억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 같은 성장률은 시장의 3분기 매출 성장률 전망치(25%)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논평했다.
- 대만 달러 강세라는 역풍에도 불구하고, 올해 1~7월 누적 매출은 지난해 대비 3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빠른 성장세를 다시 한 번 입증했다.
- 회사는 여전히 높은 수요에 맞춰 공급 확대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블룸버그 인탤리전스는 인공지능(AI) 반도체 분야에서 타이완 반도체 매뉴팩처링이 절대적인 지위를 유지하는 동시에 스마트용 반도체 부문에서도 중요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 완성차 업체 스텔란티스(STLA)
- 스텔란티스 자회사 닷지는 이날 3열 SUV ‘더랭고 SRT 헬캣 제일브레이크’와 신형 세단 ‘차저 스캣팩’을 새롭게 공개했다. 두 차량은 각각 710마력 V8 엔진과 최대 550마력 트윈터보 엔진을 탑재했으며 차량 외관, 시트, 벨트 색상 등 수백만 가지 맞춤형 구성을 제공한다는 점이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 공연 및 티켓 예매 업체 라이브네이션엔터테인먼트(LYV)
- 회사는 2분기 콘서트 부문 매출은 19% 급증한 59억5000만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티켓마스터 매출은 2% 늘어난 7억4270만달러를 기록했다.
- 2분기 전체 콘서트 관객 수는 4400만명으로 14% 늘었고 이 중 해외 관객은 30% 급증했다. 7월 기준 티켓 판매량은 1억3000만장으로 전년동월 대비 6% 증가했다. 올해 연간 공연 관람객 수는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증가가 예상된다.
■ 온라인 여행 플랫폼 업체 익스피디아그룹(EXPE)
- 2분기 조정 주당순이익(EPS) 4.24달러, 매출 37억9000만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예상치 였던 EPS 3.95달러, 매출 35억7000만달러를 모두 상회한 수치다.
- 익스피디아는 이날 연간 매출과 예약 증가율 가이던스를 기존 24%에서 35%로 올려잡았다. 여행 수요 회복과 해외 시장 확장이 기대되며 주가 반등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평가다.
■ 윈 리조트(WYNN)
- 회사는 2분기에 1.09달러의 주당순이익(EPS)을 기록해, 잭스 전망치 1.2달러를 밑돌았다. 이는 지난해에 기록했던 1.12달러 대비해서도 소폭 역성장했다.
- 매출은 17억4000만달러로, 예상치인 17억4500만달러보다 소폭 낮았다. 다만, 지난해에 기록했던 17억3000만달러보다는 성장세를 보인 것이 특징이다.
■ 핀테크 플랫폼 업체 블록(SQ)
- 2분기 조정 주당순이익(EPS) 0.62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였던 0.69달러를 하회한 수치다. 매출은 공개하지 않았으나, 총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14% 증가한 25억4000만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시장 기대치였던 24억6000만달러를 상회했다. 총결제금액(GPV)은 10% 늘어난 642억5000만달러였다.
- 블록은 실적발표와 함께 연간 총이익 가이던스를 101억7000만달러로 상향했다. 이는 기존 전망치였던 99억6000만달러 대비 약 2억달러 늘어난 수치며 전년대비 14% 증가한 수준이다. 연간 조정영업이익 전망도 20억3000만달러로 제시했다. 3분기 총이익은 16% 증가한 26억달러로 예상했으며 조정영업이익률은 18%로 제시했다.
■ 로빈후드(HOOD)
- 지난 7월30일 일찌감치 2분기 실적을 발표한 로빈후드는 예상치를 웃돈 분기 실적을 내놓았던데다 이후 월가에서 목표주가 상향이 줄줄이 이어지며 주가에 힘은 더 실리고 있다.
▲ 캔터 피츠제럴드는 7월 순유입자금이 60억 달러를 넘는 등 긍정적 흐름을 보이고 있다며 로빈후드에 대한 목표주가를 118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 미즈호증권은 활성 자금계좌 수가 75만개가 증가한 점을 근거로 이 종목에 대한 목표주가를 120달러로 높였다.
■ 희토류 광물 업체 엠피머터리얼즈(MP)
- 회사는 2분기 주당순손실 0.13달러, 매출 5740만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시장에서는 0.19달러 손실과 4560만달러 매출을 예상했다.
-네오디뮴, 프라세오디뮴(NdPr) 산화물 매출이 급증하며 소재 부문 매출이 전년대비 20% 증가한 3750만달러를 기록했다. 한편 엠피머터리얼즈는 현재 미국 국방부와 애플과의 장기 공급계약에 맞춰 중장기 생산 확대를 추진 중이다.
- 시장에서는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미국 내 희토류 공급망을 구축하려는 전략이 본격적으로 성과를 내고 있다는 평가다.
■ 바이오제약업체 길리어드사이언스(GILD)
- 길리어드는 2분기 주당순이익(EPS) 2.01달러, 매출 71억달러를 기록했다. 전년동기 대비 각각 4.1%, 5.2% 증가했으며, 시장예상치였던 EPS 1.96달러, 매출 70억달러를 모두 상회했다. 주력 치료제 빅타비(Biktarvy) 매출은 35억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9.4% 늘며 전망치도 웃돌았다.
- 연간 매출 전망치를 283억~287억달러로, EPS는 7.95~8.25달러로 각각 상향했다. 팩트셋 기준 시장예상치는 매출 288억달러, EPS 8.02달러다.
■ 스윗그린(SG)
- 회사는 2분기에 20센트의 주당순손실을 기록하며, 예상치이 12센트 손실보다 그 폭이 컸다. 동일점포매출은 지난해 대비 7.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은 1억8600만달러로, 전망치 1억9200만달러보다 낮았다.
- 2025년 연간 매출 전망치를 7억~7억1500만달러로 하향했다. 이는 5월 전망했던 7억4000만~7억6000만달러보다 낮아진 수치다.
- 올해 연간 동일점포매출이 4~6%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전에는 한 자릿수 증가세를 기대했던 것과는 크게 낮아진 수치다. 회사는 소비 심리가 약화하고, 관세 부담 등으로 점포 운영상의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 엘프뷰티(ELF)
- 도이체방크는 이날 엘프뷰티의 최근 하락이 과도했다며 장기적 전망에 변화는 없다며 최근 하락은 매수의 기회로 판단된다. 목표주가 121달러를 유지한다고 밝혔다. 이는 현 주가보다 20%의 추가 상승 여력이 있다는 의미다.
■ 룰루레몬(LULU)
- 견조한 수익성에도 소비 둔화 우려로 부진을 면치 못하면서 52주 신저가를 경신했다.
- 경영진들이 자사주 매입을 지속하며 펀더멘털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내고 있으며 기술적으로 룰루레몬이 과매도 구간에 진입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 룰루레몬은 유럽내 시장 확대를 위해 최근 이탈리아 밀라노 중심 상업지구에 첫 매장을 오픈하기도 했다.
▲ 웰스파고는 이 종목에 대한 목표주가를 225달러로 제시하며 실적 추정치가 낮아질 가능성을 우려했으며, 파이퍼샌들러는 미국과 캐나다 시장내 경쟁 브랜드들의 선전을 이유로 룰루레몬에 대한 목표주가를 200달러로 조정했다.
▲ 제프리즈도 룰루레몬에 대한 목표주가를 160달러로 낮추며 투자의견 시장수익률 하회를 제시하기도 했다.
[기타 뉴스]
■ 의료 특화 플랫폼 업체 독시미티(DOCS)
- 독시미티는 2025회계연도 1분기 실적도 공개했다.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15% 증가한 1억4590만달러, 주당순이익(EPS)은 0.36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각각 시장 예상치였던 1억3950만달러, 0.30달러를 웃돈 수치다.
- 독시미티는 이날 캐나다 몬트리올에 본사를 둔 AI 헬스케어 스타트업 패스웨이메디컬을 6300만달러에 인수했다고 밝혔다. 이번 인수는 2600만달러의 현금과 향후 최대 3700만달러 규모의 주식 보상 조건으로 이뤄졌다.
- 패스웨이는 의사들이 의약품 및 가이드라인 및 임상시험 정보를 질문하면 의학 논문을 기반으로 답변을 제공하는 AI 임상 레퍼런스 툴을 보유하고 있다.
■ 식료품 배달 플랫폼 업체 메이플베어(CART)
- 메이플베어의 2분기 주당순이익(EPS)은 0.41달러, 매출은 9억1400만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시장예상치였던 EPS 0.38달러, 매출 8억9600만달러를 모두 상회한 수치다. 순이익은 전년동기 5500만달러에서 1억1600만달러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총거래금액은 11% 증가한 90억8000만달러, 주문 수는 17% 늘어난 8270만건이었다.
- 3분기 가이던스 역시 시장 기대치를 웃돌았다. 총거래금액 전망치는 90억~91억5000만달러로, 89억3000만달러를 상회한다. 다만 주문당 평균 금액은 인스타카트+ 회원 대상 무료배송 기준이 낮아진 영향으로 5% 감소했다.
■ 피그스(FIGS)
- 회사는 2분기에 0.04달러의 주당순이익(EPS)을 기록해, 팩트셋 전망치 0.02달러를 큰 폭으로 웃돌았다.
- 매출은 1억5260만달러를 기록해, 전망치 1억4420만달러를 웃돌았다. 이는 지난해 대비 5.8% 증가한 수치다. 회사는 평균 주문 금액 상향과 주문 건수 확대에 따라 매출이 성장했다고 밝혔다.
- 회사의 순이익률은 4.7%, 활성고객수는 4.1% 증가해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다.
■ 유전자 검사 기업 나테라(NTRA)
- 나테라의 2분기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32.2% 증가한 5억4660만달러를 기록해 월가 최고 전망치를 14.7% 웃돌았다. 다만 주당순손실(EPS)은 0.74달러로 적자폭이 예상보다 컸다. 엇갈린 실적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매출 호조와 성장성에 주목하며 주가 상승을 이끌고 있다.
나테라는 연간 가이던스를 상향하며 연간 매출 전망치를 기존보다 8000만달러 올린 20억6000만달러로 제시했다. 회사는 검사 포트폴리오 확대와 의료기관 내 수요 증가가 매출 성장에 기여하고 있다.
■ 사이버보안업체 젠디지털(GEN)
- 젠디지털은 1분기 매출 12억6000만달러, 주당순이익(EPS) 0.64달러를 기록했다. 전년동기 대비 매출은 30%, EPS는 20% 늘었으며 매출과 EPS 모두 시장예상치를 상회했다.
- 회사는 실적발표와 함께 연간 실적 가이던스도 상향하며 연간 매출 전망치는 48억~49억달러로 제시했다. AI기반 신제품 수요와 머니라이언 인수 효과에 힘입어 매출과 이익이 시장 기대를 웃돌며 연간 가이던스도 상향조정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