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시 55분 기준>
>> 섹터 및 테마 분석
[오전장]
■ 웹툰 - 네이버웹툰 모회사 웹툰 엔터(+81.20%), 월트디즈니 컴퍼니와 글로벌 콘텐츠 파트너십 체결 소식에 상승
▷지난밤 뉴욕증시서 네이버웹툰의 모회사인 웹툰 엔터테인먼트(웹툰 엔터)가 월트디즈니와 파트너십을 맺었다는 소식에 81.20% 폭등 마감. 웹툰 엔터는 지난 12일(현지시간) 장 마감 후 월트디즈니 컴퍼니와 글로벌 콘텐츠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밝힘. 이번 계약에 따라 디즈니와 마블, 스타워즈, 20세기 스튜디오의 인기 지식재산(IP)이 세로 스크롤 방식의 웹툰으로 제작될 예정. 첫 번째 웹툰화 작품으로는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어벤져스', '스타워즈', '에이리언', '아주 오래된 이야기' 등 5편이 선정됐다며, 웹툰 엔터는 영어 앱에 디즈니 전용관을 마련하고 약 100편의 협업 시리즈를 선보일 계획으로 제작에는 인공지능(AI)을 사용하지 않고 전통적인 방식이 적용된다고 전해짐.
▷월가에서는 이번 파트너십을 웹툰 플랫폼 가치 상승의 계기로 평가하고 있다고 전해짐. 투자은행 레이먼드 제임스는 디즈니처럼 까다로운 IP 보유자의 승인을 받은 것은 웹툰 플랫폼의 가치와 독특한 고객층과의 연결성을 입증하는 것이라며, 다른 주요 IP 보유자들도 웹툰과 협업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분석. JP모건 역시 이번 협력이 디즈니의 최대 규모 출판 파트너십 중 하나라고 평가.
▶ 미스터블루, 엔비티, 와이랩, 핑거스토리, 탑코미디어 등
■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 정부, 수소에너지 국정과제 추진 기대감 등에 상승
▷이재명 정부가 전일 향후 5년간의 국정 청사진을 담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을 공개한 가운데, '국정운영 5개년 계획'은 국가비전과 3대 국정원칙, 5대 국정목표, 12대 국정과제, 재정지원 계획, 입법 추진계획 등으로 구성됐음. 이 가운데 에너지 전환 분야에서는 전국 전력망과 수소·재생에너지 인프라를 연결하는 에너지고속도로 구축 계획을 본격화한다고 알려짐.
▷특히, 국정기획위원회가 새 정부 국정과제 123개를 발표한 가운데, 전국을 5개 권역과 3개 특별자치시도로 재편해, 수도권 1극 체제를 넘겠다는 구상이 담겼음. 지역 맞춤형 미래산업으로 강원도에는 바이오와 수소에너지, 인공지능 기반 첨단산업을 꼽았으며, 전라남도는 재생에너지 기반 '마이크로그리드 산단' 전환과 '청정수소 에너지 산업벨트'를 구축으로 석유화학 위기를 극복한다는 구상이 담겼다고 알려짐.
▶ 두산퓨얼셀, 에스퓨얼셀, 비나텍, 원익머트리얼즈, SK디앤디, 범한퓨얼셀, 미코 등
■ 남북경협 - 李 정부 첫 경제전략에 '남북경협' 포함 소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전일 기획재정부가 다음주 공개할 ‘새정부 경제성장전략’에 남북 경협 준비 문구가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해짐. 구체적인 사업 내용 대신 남북 간 대화 여건이 조성되면 경협을 본격 추진하겠다는 방향성이 담길 것으로 알려짐. 정부가 매년 두 차례 발표하는 경제정책방향에 ‘남북 경협 준비’ 관련 문구가 포함된 것은 2020년 이후 5년 만으로 대북 제재 상황에서도 남북 교류 협력 사업을 사전에 발굴해 한반도 긴장 완화 등 여건이 무르익으면 개성공단을 비롯한 남북 경협을 추진해 부진한 잠재성장률을 끌어올리겠다는 구상임.
▷정부가 마련 중인 경제성장 전략에는 북미 대화 진전 등 여건이 조성됐을 때 경협을 본격화하기 위한 선제적 준비가 포함된다며, 여건 조성 시 추진할 수 있는 사업으로 개성공단 재가동, 나진·하산 프로젝트, 광역두만개발계획(GTI) 북한 재가입, 한강하구 공동 이용 사업 등이 검토되고 있음. 이와 관련, 기재부 고위 관계자는 “남북 경제협력이 이뤄질 수만 있다면 잠재성장률 3%대 달성은 충분히 가능하다”며 “지금 당장 할 수 없어도 상황이 조성되면 언제든지 진행할 수 있도록 경협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힘.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에 따르면 30년간 개성공단 가동의 누적 경제성장 효과는 159조2,000억원에 달한다고 알려짐.
▶ 신원, 인디에프, 도화엔지니어링, 재영솔루텍 등
[오후장]
■ 제약/바이오 - 주요 제약/바이오 업체 2분기 실적 호조 및 美 금리 인하 기대감 등에 상승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기술 수 출 계약을 통해 2분기 실적에서 뚜렷한 성장세를 기록한 것으로 전해짐. 에이비엘바이오는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757억원을 기록하며 전년동기(84억원)대비 797% 증가한 실적을 올렸으며, 이번 매출은 전액 기술이전 수익으로 지난 5월 글로벌 제약사 GSK로부터 수령한 계약금 약 793억원이 실적 상승을 견인했음. 유한양행도 폐암 치료제 '렉라자'의 기술료 수익덕분에 2분기 실적이 대폭 개선됐으며, 잠정 집계 결과 유한양행의 2분기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190.1% 증가한 456억원, 매출은 5,562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8.1% 증가. 특히, 라이선스 수익은 전년동기대비 4,502.3% 증가한 255억원에 달한 것으로 알려짐. 종근당 역시 글로벌 제약사 노바티스에 기술 수출한 신약 후보물질과 관련해 첫 기술 수출 기술료(마일스톤)를 수령하며 실적 개선에 힘을 실었으며, 종근당의 2분기 별도기준 매출은 4,296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1.6%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음.
▷이와 관련, 바이오업계 관계자는 "플랫폼이나 후보물질의 임상 진전 및 기술 수출 성과가 실적에 긍정적으로 반영되면서, 투자와 후속 개발을 수월하게 하는 선순환을 일으키고 있다"고 설명.
▷美 9월 금리 인하 기대감 등도 바이오 투자심리를 개선시키는 모습. 긍정적으로 작용. 최근 발표된 대표적 인플레이션 지표인 7월 CPI가 엇갈린 모습을 보였지만, 전품목 수치가 둔화한 만큼 9월 금 리 인하는 확실하다는 기대감이 이어지고 있음.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뉴욕증시 장 마감 무렵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9월에 기준금리가 25bp 인하될 확률을 93.8%로 반영했으며, 50bp 금리인하(빅컷) 확률도 새롭게 등장하면서 50bp 인하 확률은 6.2%로 반영됐음. 美 정부 인사들이 연방준비제도(Fed)를 겨냥해 금리인하를 계속 압박하는 점도 금리 인하 기대감을 키우고 있음. 스콧 베선트 美 재무부 장관은 "9월부터 50bp 인하(빅컷)를 시작으로 연속 금리 인하가 가능하다고 본다"고 밝힘.
▶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명문제약,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경보제약, 부광약품, 에이비엘바이오 등
■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 비트코인 등 가격 사상 최대치 돌파 등에 상승
▷미국의 우호적인 입법 조치와 미국 금리 인하 기대감 등에 암호화폐 가격이 연일 강세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비트코인 가격은 장중 한때 12 만4천달러 선을 돌파했으며, 이더리움 가격도 4,700달러를 돌파하면서 사상 최고치 행진을 이어가고 있음. 한편, 이날 오후2시 기준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인 빗썸과 업비트에서 비트코인 가격은 1억6,770만원, 이더리움은 648만원 선 부근에서 거래되고 있음.
▷이와 관련,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401(k) 계정을 통해 대체자산에 투자할 수 있도록 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으며, 실제 법이 개정되는 기간과 운용사들이 상품을 설계하는 데 걸리는 시간 등을 고려하면 2026년 말부터 실제 투자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감성코퍼레이션, 인바이오젠, 티사이언티픽, 위지트, 비트맥스 등
■ 타이어 -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2분기 실적 부진 영향 등에 하락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5.36조원(전년동기대비 +131.66%), 영업이익 3,536.40억원(전년동기대비 -15.80%), 순이익 1,787.52억원(전년동기대비 -44.68%). 특히, 타이어 부문 영업이익은 17.5% 감소한 3,464억 원으로 집계되었음. 글로벌 시장에서의 교체용 및 완성차 브랜드 신차용 타이어 판매 증가,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 비중 확대로 매출액은 증가한 반면, 영업이익은 재료비와 운임비, 미국 자동차 부품 관세 등의 영향으로 감소한 것으로 전해짐.
▷아울러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최대주주 한국앤컴퍼니,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437.52억원(전년동기대비 -5.43%), 영업이익 738.67억원(전년동기대비 -40.79%), 순이익 565.29억원(전년동기대비 -47.88%).
▶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한국앤컴퍼니, 넥센, 넥센타이어, 다이나믹디자인 등
>> 테마/섹터 분석
>> 종목AS
댓글
댓글 쓰기